이재명 대통령이 27일 “법정 시한 내에 예산이 처리될 수 있도록 여야의 초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민생경제 회복을 보다 가속화하고, 내년 대한민국의 대도약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예산의 적시 통과가 특히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예산 심의에서도 야당이 주장하는 바를 상당한 이유가 있을 경우에는 과감하게 채택하고, 또 필요한 요구들이 있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한 상당 정도는 수용해 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물론 억지스러운 ‘어거지 삭감’ 이런 것들이야 수용하기 어렵겠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름 합리성 있는 주장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내년도 예산안 법정 처리 시한(12월 2일)을 닷새 앞두고, 예산안조정소위 내 이른바 ‘소(小)소위’를 가동해 증액 심사에 돌입한 상태다.
7박10일 간 중동·아프리카 4개국을 방문하고 전날 귀국한 이 대통령은 “국력을 키우는 게 정말로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다시 들었다”는 순방 소회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력에는 경제력, 군사력, 외교 역량도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이 모든 힘의 원천은 국민들의 단합된 힘”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많은 것들을 두고 다투더라도 가급적이면 선의의 경쟁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더 많이 들었다”며 “불필요하게 우리 자신의 역량을 낭비하는 일이 최소화되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비공개회의에선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집트, 튀르키예 등 중동 방문 국가에 대한 ‘맞춤형 후속 조치’를 점검했다. 이 대통령은 우선 UAE와 관련해 “중동 진출의 거점이 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UAE가 관심을 보인 한국식 국제학교 설립에 필요한 부분을 잘 살펴달라”고 지시했다. 이집트에 대해선 “잠재력이 있는 시장인 만큼 ODA 즉 공적 개발 원조에 대한 장기 계획을 세워 미래 가능성을 살펴보자”고 했고, 튀르키예에 대해선 “전자여행허가제(K-ETA)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향후 유럽과 중남미 등 해외 순방에 앞서 주요 의제와 협업 가능 대상, 협약 가능성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미리 조율해 달라”고 참모들에게 당부했다. 순방의 경제 효과와 관련해선 “대기업뿐만이 아닌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으로 확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봐 달라”며 “국방·방위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획기적이고 발랄한 아이디어들이 나올 수 있게 공모전이나 증진 대회를 마련하라”라고도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