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와 전화회담을 하면서 대만 문제와 관련해 자제를 요구했다는 미국 언론의 보도에 대해 일본 정부가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4일 밤 다카이치 총리와의 전화 회담에서 ‘대만 문제로 중국을 자극하지 말라’고 조언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통해 내년 상호방문 형태의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시 주석과의 전화통화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25분간 다카이치 총리와 전화회담을 가졌는데, 이 자리에서 중국을 자극하지 말아달라고 했다는 것이다. WSJ은 시 주석이 약 30분에 달하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에서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발언에 분노를 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들었다고 전했다. 이어진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총리와의 통화에서 발언 철회 압력은 없었다고도 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격인 기하라 미노루(木原稔)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회견에서만 해도 관련 질문에 “회담 상세 내용은 외교상 대화로 답변을 삼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열린 회견에선 달라졌다. 기하라 장관은 해당 보도가 사실이라면 미국이 일본과의 거리두기로 국제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질문을 받자 “그런 사실은 없다”고 부인했다. 미·일 전화 회담에서 양국이 폭넓은 의견 교환을 했다는 이야기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미·중 정상회담을 포함한 최근 상황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는 내용을 반복해 설명하면서다.
그는 회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는 없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대만 주권에 관한 문제로 중국 정부를 도발하지 말라는 조언’이라는 기술이 있었지만 그런 사실이 없다는 점은 분명히 해두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NHK에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총리 사이에 사태 진정화를 위해 협력해 가자는 뉘앙스의 이야기는 있었다”면서 “자제를 요청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다카이치 총리는 전날 중일 갈등의 발단이 된 자신의 발언에 대해 “(질문자가) 사례를 들었기 때문에 그 범위에서 성실하게 답변한 것”이라는 해명을 내놨다. 중국이 요구하고 있는 발언 철회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달 말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시 주석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어 일주일만인 지난 7일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 군사개입을 시사하는 발언을 현직 일본 총리로선 처음 내놓으면서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