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조지메이슨대 안보정책연구소, 제6차 국제안보 심포지엄

중앙일보

2025.11.27 01:3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George Mason University Korea) 산하 연구기관인 안보정책연구소는 26일 인천 송도 인천글로벌캠퍼스 소극장에서 ‘글로벌 기술경쟁 시대 한국 외교의 방향’을 주제로 제 6차 국제안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국제안보 심포지엄은 2018년 출범 이후 한국과 미국, 인도태평양 지역이 직면한 안보위협을 분석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신흥 안보이슈에 대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올해는 4차 산업혁명과 AI 기술혁신이 국가 간 힘의 균형과 국제관계를 규정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함에 따라, 첨단 AI 과학기술이 사회 전반과 안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논의했다.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 권소영 처장의 진행으로 ‘글로벌 기술경쟁과 과학외교’를 주제로 시작된 기조대담에서는 박진 전 외교부장관이 AI 혁명이 국제질서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글로벌 기술경쟁 시대를 헤쳐갈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으로 ‘과학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세션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에 따른 인간 중심 기술 및 정책’에서는 전치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와 김보영 안보정책연구소 연구교수, 안준모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기술 발전이 사회·윤리·정책 전반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2세션에서는 김한권 국립외교원 중국연구센터장, 송의달 파이낸셜뉴스 사장, 이승주 중앙대 사회과학대학장이 미·중 기술경쟁 심화 속에서 양국의 대외 전략을 분석하고, 한국 외교의 대응 방향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조슈아 박(Joshua Park)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 대표는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는 글로벌 AI 기술 경쟁이 국제질서를 재편하는 중요한 전환기에 한국과 국제사회가 직면한 안보·외교적 과제를 선제적으로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새로운 시대를 이끌 정책적 통찰과 실질적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는 앞으로도 국제안보와 AI 기술정책 분야의 담론을 선도하는 교육·연구 허브로서 역할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학생·연구자·기업·기관이 협력하며 함께 성장하고 신뢰받는 글로벌 교두보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