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원자력·방산·해양 통합플랫폼 될 것"…창원대 원자력센터 출범

중앙일보

2025.11.27 01:43 2025.11.27 01:5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27일 오전 국립창원대학교에서 박민원 창원대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에너지융합센터 현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국립창원대
핵추진 잠수함 등 한·미 핵 협력 시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국내 원자력·방산 분야의 정책·기술 개발 지원을 목표로 국립창원대학교 원자력에너지융합센터(이하 원자력센터)가 27일 공식 출범했다. 창원대는 “정부·산업·학계가 함께, 한국 원자력 산업의 전환을 주도할 정책·기술을 개발할 통합 플랫폼으로 기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유환(창원대 대학원장) 원자력센터장은 “(지난 14일 발표된 한·미 공동 합의문으로) 그동안 ‘금단의 영역’으로 치부된 핵추진 잠수함, 우라늄 농축,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분야에 대한 미국의 지지는 국방과 원자력 산업의 미래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그 출발점은 창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 이유로, 원자력센터는 경남 창원의 ‘지리적 이점’을 강조한다. 원자력센터가 위치한 창원은 원자력·조선·방위 산업 기반이 모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국내 대표 원전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를 포함해 약 300개의 원자력 기업이 창원 국가산업단지 주변에 포진해 있다. 또 경남 거제에 사업장을 둔 한화오션 등 세계적인 조선 업체도 가까이 있다.


이 센터장은 “핵잠수함의 건조는 단순한 무기 제조가 아니라 원자력·조선 기술이 완벽하게 융합해야 하는데, 원자력·조선 산업의 핵심 기업이 인접해 있어 이것이 물리적으로 가능하다”며 “또 창원 주변의 방위 산업과 해군 주요 시설도 집중돼 있어, 대한민국에서 ‘국방·원자력·해양 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낼 유일한 집중지”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원자력센터는 ‘첨단 방산과 원자력 융합으로 에너지·국방 경쟁력 지원’을 목표로 ▶향후 한·미 핵 협상 위한 기술·정책 근거 개발 ▶원전·소형모듈원자로(SMR) 연구 및 핵잠수함·우라늄 농축·재처리 기술 개발 참여 ▶전문 인력 양성 등 3가지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고 했다. 개소식에 앞서 부족한 교육 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서울대원자력정책센터와 교류협력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박민원 창원대 총장과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장, 최재호 창원상공회의소 회장, 강정호 해군교육사령부 사령관, 전용환 경남테크노파크 본부장, 이종호·박석빈 서울대원자력정책센터 책임 위원 등 산·학·연·군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기복 회장은 “국가 에너지 전략과 지역 산업을 동시에 견인하는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안대훈([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