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이모(58)씨는 이달 초 퇴직금 중 5000만원을 헐어 미국 달러로 바꾼 다음 연 3.1%대 달러예금에 넣었다. 이씨는 “외환위기 때만큼 위험한 상황은 아니지만 당분간 원화 가치가 계속 떨어질 것 같아 달러예금에 투자했다”고 말했다.
달러당 원화값이 1400원 중후반대에 머무르자 달러예금과 달러보험에 돈이 몰리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달러예금 잔액은 지난 24일 기준 631억8219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586억6034만 달러)과 비교해 약 45억2185만 달러(6조6000억원) 늘었다.
달러예금은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예치했다가 만기가 되면 원화로 돌려받는 상품이다. 기본 이자에 더해, 달러당 원화값이 떨어지면(환율은 상승) 환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 또 달러예금 이자율은 미국 기준금리를 토대로 산정하기 때문에 금리 차만큼 이자 혜택을 볼 수 있다. 이날 5대 은행 정기예금(6개월 만기 기준) 금리를 보면 원화는 연 2.81~3.1%, 외화는 연 3.08~3.43%이었다.
달러보험 가입도 급증하고 있다. 5대 은행에 따르면, 올해 달러보험 상품 누적 판매액은 지난 21일 기준 1조5526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전체 판매액(약 9641억원)을 이미 넘어선 수치다. 달러보험은 매달 보험료 납입과 보험금 수령 모두 달러로 이뤄진다. 다만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달러보험은 환율 변동 폭이 커져도 중도 해지 외엔 대처 방법이 없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역시 “원화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달러예금·보험)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