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회 국민동의 청원이 공개 약 2주일 만에 2만7000명의 동의를 얻었다.
28일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공개된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은 이날 오전 1시 기준 동의 2만7300명을 돌파했다.
자신을 '중학생과 초등학생 두 자녀를 키우는 평범한 맞벌이 가정의 주부'라고 소개한 청원인은 "저희 부부는 매일 늦은 퇴근과 육아 사이에서 허덕이고 있다"며 "저녁 늦게 귀가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말했다.
청원인은 "마트가 닫힌 밤, 아이들은 그제서야 내일 학교에 물감을 가져가야 한다고 리코더를 잃어버렸다고 말한다"며 "화도 나지만 애들을 탓할 수도 없고 어떻게든 준비물은 챙겨줘야 한다.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배송 덕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새벽배송은 이미 국민들의 일상에서 뗄 수 없는 필수 서비스나 마찬가지"라며 "새벽배송 자체를 금지한다는 것은 올바른 접근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새벽배송을 무작정 금지하면 더 큰 불편과 사회적 갈등을 가져올 뿐"이라며 "국민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더 나은 방법을 국회와 정부가 찾아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해당 청원이 다음 달 13일까지 5만명 동의를 얻을 경우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돼 심사를 받는다. 앞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해당 청원을 공유하며 참여를 독려하기도 했다.
한편 새벽배송 금지 논의를 촉발했던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는 이날 3차 회의를 연다. 회의에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국토교통부, 쿠팡·컬리·CJ대한통운 등 택배사, 민주노총·한국노총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다만 새벽배송 금지 여부와 관련해 노동계와 유통·물류업계,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 간 입장차가 큰 상황에서 정작 소비자·소상공인, 노조 미가입 택배기사는 참여 대상에서 빠져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쿠팡 위탁배송 기사 1만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주 논의가 새벽배송인 만큼 실제 운영 당사자의 경험이 빠지면 논의가 왜곡될 수 있다"며 "CPA가 단순 배석이 아닌 공식 논의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택배기사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