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 총리, 야당 앨버타주지사와 파이프라인 건설 MOU
'트럼프 관세' 위협 맞서 캐나다 정치권 대타협
캐나다, 탈미국 시동…아시아 수출 확대 원유 파이프라인 추진
카니 총리, 야당 앨버타주지사와 파이프라인 건설 MOU
'트럼프 관세' 위협 맞서 캐나다 정치권 대타협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앨버타주 다니엘 스미스 주지사와 하루 수송량 100만 배럴 규모의 파이프라인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카니 총리는 MOU 체결 사실을 밝히면서 "캐나다를 에너지 초강대국으로 만들고, 배출량을 줄이며 수출 시장을 다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의 원유 산지인 앨버타주 북부에서부터 이웃한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의 서부 태평양 해안까지 연결하는 길이 1천100km 규모의 원유 파이프라인을 새로 건설하겠다는 것이다.
신규 파이프라인은 캐나다산 원유의 아시아 수출을 촉진할 것이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도로 통합된 북미 시장에 타격을 준 무역 전쟁을 시작한 이후 미국 경제에 대한 의존을 낮추려는 카니 총리의 노력의 일환이라고 FT는 전했다.
보수 야당인 앨버타보수연합당(UCP) 대표인 스미스 주총리는 아시아 수출 확대를 위해 제2의 파이프라인 건설을 오랫동안 요구해 왔지만, 진보 야당인 브리티시 컬럼비아신민주당(NDP)을 이끄는 데이비드 에비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총리가 강하게 반대해온 상황이었다.
다만 에비 주총리는 이번 협상에서 자신이 배제된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캐나다산 원유 수출의 97%는 미국으로 향한다. 이는 미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약 60%(하루 약 400만 배럴)에 달한다. 이 물량 대부분은 원유 매장량 세계 3위인 앨버타주 북부에서 생산된다.
앨버타주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의 밴쿠버를 잇는 기존 파이프라인은 지난해 5월부터 하루 약 89만 배럴의 원유를 아시아로 수출한다.
합의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로 인한 원유 증산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은 앨버타주가 계획 중인 탄소 포집·저장 프로젝트로 처리하기로 했다.
앨버타주는 향후 10년간 메탄 배출을 75% 감축하기로 합의했는데, 카니 정부는 저스틴 트뤼도 전 총리가 설정했던 배출 상한제를 시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취임한 카니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한 캐나다 정치권 대타협의 하나로 앨버타주 석유산업과의 관계를 강화해 왔다.
다만 신규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여러 법적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FT는 지적했다.
캐나다 대형 로펌인 캐스엘스의 변호사 제러미 바레토는 "영향을 받는 원주민 정부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길고 지루한 법적 분쟁 없이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데 핵심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황정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