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日, 트럼프 '중일갈등' 관여에 위기감…"미일문제로 번질 수도"

연합뉴스

2025.11.27 17: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트럼프, '日지지' 없이 사태 안정화 필요성 언급…중일관계 악영향 우려하는 듯
日, 트럼프 '중일갈등' 관여에 위기감…"미일문제로 번질 수도"
트럼프, '日지지' 없이 사태 안정화 필요성 언급…중일관계 악영향 우려하는 듯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에게 중일 갈등 완화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본 내에서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8일 보도했다.
미중 무역 협상 등 중국과 관계를 중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일 관계에 직접 관여하면서 이 사안이 미일 간 불협화음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생겼다는 것이다.
일본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 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고, 이어 25일 새벽 무렵 일본 측에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으로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오전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에서 시 주석과 협의한 대만 문제에 관해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다카이치 총리 발언으로 '떠들썩하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중국 측 도발에 편승하지 말고 미일이 협력해 사태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언급했다고 한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은 이렇게 해야 한다는 구체적 행동을 요구하지 않았고, 담담하게 대응할 것을 확인했다"고 아사히에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바라는 대로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 철회를 촉구하지는 않았으나, 갈등 고조에 대한 우려를 전하고 동맹국인 일본을 지지한다는 입장도 표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결론적으로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26일(현지시간) 보도한 것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자극하지 말라'는 취지의 강한 조언은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지만, 중일 갈등 확대에 반대하고 일본에 사태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26일 여야 당수 토론에서 "(중국과) 대화를 통해 보다 좋은 관계를 만들어 국익을 최대화하는 것이 책임"이라며 중일 관계 회복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 것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가 영향을 미친 결과일 수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4월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인데, 이 무렵 중일 갈등이 미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무역 협상이 차질을 빚는 것을 원하지 않는 듯하다고 아사히는 분석했다.
아사히는 "시 주석의 이야기를 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에게 (중일 갈등에 관해 자신의 입장을) 못 박은 구도가 됐다고 할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 의향에 따르지 않고 중일 대립이 격화하면 미일 간 문제로 발전할 수 있고, 정권은 긴박한 입장에 서게 될 수도 있다"고 해설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사태가 심각해지면 아베 신조 정권부터 구축해 온 굳건한 미일 관계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하지만 '반중국·친대만' 성향으로 알려진 다카이치 총리와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트럼프 대통령 관여에 대한 위기감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는 견해가 일본 정부 내에 있다고 아사히가 전했다.
닛케이는 중국이 정치적 이유로 경제적 압력을 가한 것은 2010년대부터라면서 노르웨이의 경우 중국과 관계 회복까지 6년이 걸렸다고 전했다.
이어 "출범한 지 1개월 남짓 지난 다카이치 정권은 높은 지지율이 이어지고 있다"며 중국과 일본이 타협할 곳을 찾기가 쉽지 않아 갈등이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