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증가하는 미국과 한국의 군사활동이 역내 평화와 안정을 흔들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도 마땅히 필수적 권리행사로써 자기의 국권과 국익을 지키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수호를 도모"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한·미 군사훈련에 견제구를 날리는 동시에 역내 주요 현안과 관련해 중국과 긴밀하게 공조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지역정세 불안정의 원점을 투영해주는 미국의 무모한 군사적 준동'이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최근 한·미의 군사훈련 대부분을 문제 삼았다. 한·미가 최근 유도미사일 구축함·대잠 헬기·해상초계기 등을 동원해 실시한 '해상 대(對) 특수작전 훈련', F-16 전투기의 오산 공군기지 전진 배치, 미국 괌 인근 해역에서 실시한 한·미 연합 대잠수함전(ASW) 훈련 '2025 사일런트 샤크'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면서다.
통신은 "'정례적 훈련'이라는 상투적 간판으로는 극도의 호전성과 공격성이 구현된 도발 행위의 침략적 성격을 절대로 가릴 수 없다"며 "미국이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전략적 안전 균형을 파괴하는 원흉이라는 사실은 지역의 자주적인 주권 국가들의 인식 속에 이미 절대값으로 보존"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적수국들의 대결 지향적인 움직임과 그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임의의 사태 발전에도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우리 국가의 일관한 원칙이며 절대불변한 입장"이라며 "우리는 이미 우리의 안전권에 접근하는 일체의 모든 위협은 우리의 정조준권 안에 놓이게 되며 필요한 방식으로 관리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선 역내에서 진행되는 미국 주도의 군사 활동과 관련한 중국 측의 의중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중국은 미국이 대만해협 등 역내에서 '일방적인 현상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는 비판을 해왔기 때문이다. 또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공세적인 외교전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북한이 지역 현안에 대해 우방국인 중국·러시아와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대남·대미 관계를 총괄하는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8월 외무성 주요 국장들과의 협의회에서 "한국에는 우리 국가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지역외교 무대에서 잡역조차 차례지지 않을 것"이라며 "외무성은 한국의 실체성을 지적한 우리 국가수반의 결론에 따라 가장 적대적인 국가와 그의 선동에 귀를 기울이는 국가들과의 관계에 대한 적중한 대응 방안을 잘 모색해야 한다"고 지시한 바 있다.
오경섭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으로 중·일 갈등이 고조는 상황에서 중국과의 단일대오를 과시하는 모습"이라며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북·중·러 협력을 통해 독자적인 세력권을 갖추길 원하는 만큼 앞으로도 역내 주요 현안에 대해 중·러와 공조할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