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김나연 기자] ‘한란’ 배우 김향기가 깊고 단단한 연기로 극장가에 묵직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
영화 ‘한란’은 1948년 제주를 배경으로, 살아남기 위해 산과 바다를 건넌 모녀의 강인한 생존 여정을 그린 작품이다. 김향기는 토벌대를 피해 한라산으로 피신했다가, 마을에 홀로 남은 딸 ‘해생’(김민채 분)을 찾기 위해 모든 위험을 무릅쓰고 하산하는 엄마 ‘아진’ 역을 맡아 특유의 진정성 있는 감정선과 섬세한 몰입도로 극을 이끌며 호평을 얻고 있다.
김향기는 촬영 3개월 전부터 캐릭터 분석에 몰두하며 ‘아진’을 현실적으로 그려내기 위한 치밀한 사전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태프들과 직접 제주 로케이션을 답사하며 당시 제주 사람들의 환경과 정서를 세밀히 체감했고, 특히 제주어 연습에는 각별한 공을 들여 현지인들로부터 “완벽에 가깝다”는 평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준비 과정은 영화 속에 고스란히 담겼다. 산을 넘고 차가운 바다에 몸을 던지는 극한의 여정 속에서 김향기는 완성도 높은 제주어 표현과 더불어 감정을 세밀하게 축적해 나가는 디테일한 연기로 ‘아진’의 삶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 상황에 따라 절제된 호흡과 단단한 눈빛, 그리고 제주어의 억양에 실린 감정까지 자연스럽게 맞물리며 시대의 비극을 살아낸 한 인물을 설득력 있게 완성해냈다는 평가다. 이러한 연기는 관객들로부터 “역시 김향기”라는 탄탄한 신뢰와 호평을 끌어내고 있다.
특히 김향기의 ‘아진’은 단순히 모성애에 기반한 캐릭터를 넘어, 제주 4·3의 비극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쳤던 이들의 실제 역사를 스크린 위로 소환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그의 연기는 개인의 서사와 시대의 비극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잊혀 가던 역사를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아역 시절부터 다수의 화제작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여온 김향기는 ‘한란’을 통해 다시 한번 배우로서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성장세를 증명했다. 시대적 비극, 모성애, 생존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자신의 감성으로 견고하게 풀어내며, 강렬한 여운과 진한 울림을 남겼다.
올겨울 극장가에 깊은 감동을 전하고 있는 ‘한란’은 김향기의 열연과 더불어 한국의 아픈 역사를 관객에게 다시 환기시키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하며 의미 있는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여기에 김향기가 이번 작품을 통해 보여준 놀라운 감정의 결, 성숙해진 표현력, 폭넓어진 스펙트럼은 그가 앞으로 어떤 캐릭터와 세계를 펼쳐낼지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있다.
차근히 쌓아온 내공을 바탕으로 또 한 번 새로운 도약을 보여줄 김향기의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