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거래소 전산문제로 주식·외환 파생상품 거래 10시간 마비(종합)

연합뉴스

2025.11.28 07: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시카고상품거래소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문제"…글로벌 투자자 혼란
美거래소 전산문제로 주식·외환 파생상품 거래 10시간 마비(종합)
시카고상품거래소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문제"…글로벌 투자자 혼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28일 세계 최대 파생금융상품 거래소 플랫폼인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거래가 전산 문제로 인해 10시간 넘게 중단됐다.
CME 공지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28일 오전 11시 40분께부터 선물, 옵션, 원자재 관련 거래가 중단됐다. 이후 한국시간 오후 10시께 거래가 순차적으로 정상 복구되기 시작했다.
거래량의 약 90%가 이뤄지는 글로벡스(Globex) 선물·옵션 시장의 경우 한국시간 기준 오후 10시 30분 거래가 정상 재개됐다고 CME는 알렸다.
CME는 주식, 채권, 통화,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군과 관련한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을 거래하는 세계 최대 규모 파생상품 거래소다.
거래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현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큰 데다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벤치마크 가격 정보를 제시하는 역할도 한다.
이날 전산 마비는 27일 추수감사절로 뉴욕증시가 휴장한 가운데 미국 시간 기준 야간 시간대에 발생했다.
CME 거래 중단 시 해외 주가지수나 원유, 채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한국증시 상장 상장지수펀드(ETF)는 벤치마크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거래돼 가격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금융회사들은 선물 거래가 중단되면 위험회피(헤지) 수단이 사라져 시장조성자로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및 나스닥100 지수 등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거래하는 ETF들도 한국 증시 개장 시간대 CME가 산출하는 주가지수 정보에 의존해 거래가 이뤄진다.
CME는 이번 사태가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문제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시카고 지역의 한 데이터센터에 냉각 시스템이 문제를 일으킨 게 이번 사태의 원인이라고 데이터센터 운영사 시러스원을 인용해 전했다.
CME는 지난 2014년에도 기술적 문제로 농산물 관련 파생상품 거래가 차질을 빚은 바 있다. 2019년 2월에도 전산시스템 문제로 3시간 동안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다.
금융서비스회사 마렉스의 토머스 텍시어 청산부문 그룹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 "선물 거래시장이 얼마나 집중됐는지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주요 파생상품의 경우에도 대체 거래소가 많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지헌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