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과요? 생물에 관해서 배우는 것이 아닌가요?” 맞다. 생물학과나 화학과에서는 생물이나 화학을 배운다. 하지만 이런 분류는 오래됐다. 생물이 동물과 식물만 다루지 않듯이 다른 전공들도 이름과 내용이 다를 수가 있다. 학부모들에게는 바로 와닿지 않는다. 칼리지보드에서 분류한 미국 대학 전공에 대해서 알아보자.
생명과학(biological sciences)은 생명 그 자체라고 설명된다. 동물, 식물, 미생물을 다룬다. 또 이들의 분자, 세포, 기관 등 모든 분야를 다루고 철새이동, 환경도 다룬다. 생물학자 몇몇은 특별한 생명체를 좇고 식물학자는 식물을, 해양 식물학자는 바다속 생명체에 대해서 조사한다. 물론 곤충학자는 곤충의 세계를 맡는다.
대학에서는 생물과 관련된 여러 분야가 있다. 특히 생화학(biochemistry), 바이오테크놀러지(biotechnology), 유전학, 분자 및 세포 생물학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다.
생명 과학은 아울러 생물학 및 의료 과학과도 관련이 있다. 백신과 치료약, 암, 심장질환, AIDS, 알츠하이머 같은 질병의 치료제도 다룬다. 또한 유전공학, 면역치료, 줄기세포 연구 등도 포함된다. 이런 분야는 바이오엔지니어링, 유전정보학, 식물통계학, 분자모델까지 이어진다.
이 분야를 공부하면 교수는 물론, 의료인, 연구원, 테크니션, 과학자까지 취업할 수 있다. 물론 과학 발전의 속도때문에 직장은 빨리 늘어나지는 않지만 새로운 분야가 창출되고 있다.
그래서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경험이 많을수록, 좋은 직장을 얻을 기회가 있다. 리서처의 경우 석사학위가 필수다.
이 분야를 전공하기 위해서는 대학 사이즈가 중요하다. 규모가 작은 학교는 기초가 튼튼해서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만 새로운 분야에 관해서는 대규모의 대학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대규모 대학일수록 외부 연구비 조달이 쉽기 때문이다. 반면 작은 학교들은 튼튼한 학습 결과가 보장된다. 만약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교수 추천서, 특히 리서치를 함께한 교수들의 추천서 측면에서 본다면 교수가 가까이 있는 작은 학교가 좋다.
◆생화학 전공(biochemistry)
생물의 각종 작용에 대한 공부를 한다. 화학구조와 생물학적 관점의 분자 작용에 관한 지식을 배워 생명체의 기본적인 활동을 알게 된다. 수업받는 과목은 대개 분석 화학, 유기화학, 물리학, 미적분학, 미생물학, 물리화학, 생화학, 정량적 분석, 분자 생물학, 유전학, 무기화학, 생리학, 면역학, 물리 생화학이고 집중 전공과목으로는 바이오테크놀로지, 독성학, 약리학, 분자 생물학, 명역한, 신경화학, 혈액학, 박테리아학이다.
이 전공을 하면 대학 교수, 의사, 리서치 테크니션, 리서치 사이언티스트, 과학 교사가 될 수 있다. 대부분 대학원 과정이 필요하다. 미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www.asbmb.org)
◆생물학(biology)
모든 생명체의 구조, 작용, 유전, 진화를 공부한다. 수업받는 과목은 유전학, 세포 생물학, 미생물학, 분자 생물학, 발전 생물학, 면역학, 동물및 식물 생리학, 비교 해부학, 동물 행동학, 식물 행동학, 기생충학, 수중 생물학, 환경 생물학, 환경학, 진화학이다.
전공을 하면 교사, 산업및 대학 리서처, 랩 테크니션, 정부 생물학자, 의료인, 헬스케어 관리자, 제약 마케팅 담당자가 될 수 있다. 미국 생명과학협회(www.aibs.org)
◆바이오테크놀러지(biotechnology)
분자 생물학과 공학을 융합한 전공이다. 살아있는 생명체를 다루는 방법, 세포 및 분자 과정, 유전적 문제 해결책을 배우고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법을 배운다. 최근엔 현미경으로 보이는 나노테크놀로지를 배운다. 제약 산업과 관련성이 높다.
수업받는 과목은 일반생물학, 세포 생물학, 세포 심리학, 미생물학, 발전 생물학, 유기화학, 생화학, 면역학, 바이러스학, 조직배양법, 생분석법,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유전 공학, 유전학, 생정보학, 단백질학을 배운다. 집중 전공과목으로는 독성학, 제약학, 분자 모델 등이다.
전공자는 바이오메디칼 리서처, 바이오메디칼 엔지니어, 환경및 안전 스페셜리스트, 제약 리서처, 의학 진단가, 바이오테크놀러지 리서처 등이다. 직장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테크놀러지 협회(www.bio.org)
◆식물학(botany)
식물의 생장과 관련된 제분야를 연구한다. 수업받는 과목은 일반 생물학, 생화학, 미생물학, 유전학, 식물 해부및 생리학, 환경학, 식물 진화론, 곰팡이학, 앨지학, 양치식물학, 이끼/선태류학, 유관속 식물학 등이다.
전공자는 연구소 테크니션, 환경분야 관리자, 사진가, 박물관 큐레이터, 제약회사 리서처, 식물 재배가 등이다. 미국 식물학자협회(www.aspb.org)
◆세포 생물학 및 조직학(Cell biology and histology)
생물의 기본 단위를 세포로 규정하고 연구하는 전공이다. 조직학 분야도 세포들이 작용단위, 조직 등이 생체 기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공부한다. 수업은 유기화학, 세포 생물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화학 등을 듣는다. 대학교수나 리서치 사이언티스트 등이 될 수 있다.
◆곤충학(entomology)
생물학과 곤충 및 곤추과 관련된 경제적인 중요성에 대해서 공부한다. 곤충의 다양성과 이들로 인한 인류의 건강 문제를 다룬다. 수업을 듣는 과목은 일반 생물학과 유사하며 특히 곤충 생리학, 곤충 분류및 체계론, 가축곤충학, 원예학, 곤충 행동론, 수중 곤충학, 농업 곤충학, 의료 곤충학, 삼림 곤충학, 도시 곤충학을 듣게 된다.
전공자는 대학, 정부, 사업 각분야에서 스페셜리스트로 활동하게 된다. 엔트리 레벨은 학부 졸업으로 가능하나 상위레벨은 석사 학위 이상을 요구한다. 미국 곤충학회(www.entsoc.org)
◆유전학(genetics)
유전학은 유기체와 바이러스의 유전과 성장, 질병, 진화에 대해서 공부한다. 이 전공자는 모든 생명과학 분야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수업받는 과목중 일반적인 화학및 통계학 이외에도 인간유전학, 진화유전학, 인구 유전학, 성장 유전학, 유전정보 분석론 등이 있다.
의사를 포함한 의료인, 유전학 리서처 등 의료계에 진출이 용이하다. 학부만으로는 직장을 얻기 어렵고 석박사 과정이 필요하다.
◆해양 생물학(Marine biology)
해양 생명체과 해양 생태계, 해양의 화학적 물리적인 특성을 배우는 전공이다. 수업받는 과목은 화학 해양학, 물리 해양학, 해양 식물학, 심해 생물학, 어류생물학, 담수 생물학, 해양생태계론, 수중환경학, 해안 생태계, 해양 정책론, 플랭크톤 생물학, 앨지학, 컴퓨터 모델링 등이다. 정부 공무원, 과학교사, 어업 생물학자, 연구소 리서치 테크니션, 환경 컨설턴트, 수족관 직원 등이다. 연구직이나 리서처는 석박사 학위가 필요하다. 미국 어업학회(www.fisheries.org)
◆미생물학(micorbiology)
박테리아나 앨지, 곰팡이 같은 현미경적 유기체를 공부한다. 그러나 쓰이는 분야는 넓어 농업, 의학, 환경학, 바이오테크놀러지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 수업받는 과목은 일반 생물학 이외에도 박테리아학, 미생물 환경학, 생체정보학, 박테리아 생리학, 의료 생리학, 면역학, 바이러스학, 기생충학 등이다.
전공자는 의사나 수의사, 고교및 대학 교사, 리서치 테크니션, 환경과학자, 헬스케어 전문가, 정부 공무원으로 일할 수 있다. 관련 직장이 빠르게 늘고 있다. 미국 미생물학회(www.asm.org)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
생명체의 기본적인 메커니즘과 기본 요소인 단백질 같은 기본 단위를 공부한다. 화학 분석을 통해서 또한 대사작용, 유전작용, 세포 분화, 성장을 배우며 세포속 단백질과 핵산의 역할을 연구한다. 수업받는 과목은 일반 화학, 생물학 이외에도 분자 유전학, 생물통계학, 내분비학, 핵산 화학, 성장화학, 단백질 분리법 등이 있다.
전공자는 대학교수및 의료 및 제약업계 리서처, 고교 교사, 농업 리서처, 연구소 테크니션, 공공보건 오피서가 될 수 있다. 리서처는 석박사 학위가 있어야 한다. 미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www.asbmb.org)
◆동물학(Zoology)
동물의 기관, 세포구조, 유전학, 생리학, 행동론, 환경학, 생식 과정을 공부한다. 수업받는 과목은 동물 행태론, 동물 생리학, 비교 해부학, 환경학, 내분비학, 유전학, 곤충학, 진화 생물학, 파충양서류학, 무척추 생물학, 담수학, 포유류학, 조류학, 기생충학, 영장류학, 척추동물학을 배운다. 전공자는 파크레인저, 헬스케어 전문가, 교사, 대학교수, 수의사 등이 될 수 있다. 진출분야가 넓지 않고 리서처는 석박사 학위가 필요하다. 미국 생명과학협회(www.aibs.org)
장병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