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노상문]불혹(不惑)의 나이 마흔을 지나며

 뒤돌아 볼 겨를도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 인생길에서 잠시 숨 고를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어느덧 넘어버린 마흔 살의 나이를 생각해 본다. 사람의 나이 40을 가리켜 ‘不惑 (불혹)’이라고 한다.

보고 듣는 것에 유혹되지 아니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동양철학 사상의 대표적 인물인 공자가 논어 위정편(爲政篇)에서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과 수양의 발전과정을 술회하면서 언급한 말이다.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지학=志學), 서른 살에 뜻을 확고하게 세워 자립했다(이립=而立). 마흔 살에는 사물의 이치에 의문 나는 점이 없었고(불혹=不惑), 쉰 살에는 하늘이 부여한 사명을 알았다(지천명=知天命). 예순 살이 돼서야 남의 말을 순순히 받아들일 수 있었고(이순=耳順),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 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종심소욕=從心所欲)”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이를 연령에 따른 인생의 목표치로 볼 때에 불혹의 40대는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하면서 삶의 이치를 깨달아 세상의 유혹에 휘둘리지 않는 성숙함이 있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인생의 하프타임을 지나 초로(初老)의 경지로 접어드는 사십대는 어느 정도 여유롭게 삶에 대한 포용력을 가지고 가정의 안정과 인격의 성숙함을 이루어 놓아야 하는 나이이다.

 그러나 지금 내 자신은 불혹의 마흔에 어울리는 올바른 자화상을 그릴 수 있는가? 삼십이 훨씬 넘은 나이에 미국 생활을 시작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다시 자리매김해보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흐릿한 도전정신으로 머릿속을 가득채워야 했다. 어찌보면 청년기의 역동적인 삶으로 회귀한 듯 새로운 삶의 의욕도 생겨났지만 나이에 어울리게 자리잡아야 할 중후한 안정감과 삶의 연륜에서 배어 나와야 할 인격의 성숙함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지나 않았는지.

 만일 지금 한국에 살고 있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국에서 불혹의 40대는 패기의 30대와 경륜의 50대 사이에 끼어 있는 어정쩡한 위치의 숨죽인 샌드위치 세대이다. 45세 정년퇴직을 의미하는 ‘사오정’, 50 - 60대 까지 회사에 남아 있으면 도둑놈이라는 ‘오륙도’와 육십 이세까지 자리를 지켜면 오적이라는 ‘육이오’ 등과 같은 슬픈 단어들이 한국의 사십대가 겪고있는 사회적인 압박감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 동안 40대의 처지를 감상적으로 노래한 ‘40대의 애수’가 인터넷에 확산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 “어느 날 자리가 불안하여 돌아보니 늙은 부모님은 모셔야 하고, 아이들은 어리고”라며 자신들의 처지를 노래하면서 “은퇴하기에는 너무 젊고 도전하기에는 너무 늙은 사람들”이라는 서글픔을 서슴없이 토해 낸다.

아울러 사십대인 자신들을 ‘주산의 마지막 세대. 컴맹의 제1세대’에다 ‘부모님에게 무조건 순종했던 마지막 세대이자, 아이들을 독재자로 모시는 첫 세대’라고 규정하면서 “이제 우리가 우리를 퇴출이라고 부르는 세대”라고 자조섞인 탄식을 하고 있다.

 이렇듯 불혹의 사십대는 역설적이게도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가장 많이 동요하는 존재들이 되고 있다. 급기야 어느 시인은 “마흔 살을 불혹이라던가/ 내게는 그 불혹이 자꾸/ 부록으로 들린다. 어쩌면 나는/ 마흔 살 너머로 이어진 세월을/ 본 책에 덧붙는 부록 정도로 여기는지 모른다”면서 사십대의 존재와 의미를 아주 축소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현실을 생각하면 이곳 미국에서 살게 된 것 만으로도 나의 사십대는그나마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닌가. 인생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서 미국의 이민생활에서 맛 보는 새로운 삶에 대한 의미 부여와 열정을 느낀다.

아울러 체념하자니 지나간 날이 너무 허망하고 포기하자니 앞으로 남은 날이 너무 아쉬운 이 마흔에 새로운 인생의 분주함을 떨어보고 싶다. 다소 흐릿해진 도전정신이지만 다시 한 번 20, 30대의 활력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 유혹에 약한 사십대라는 말을 들을 지언정 단지 무대 뒤에서 꿈만 먹고 사는 것이 아니라 꿈을 만들어 가는 사십대로 다시 살고 싶다.

 끊임없이 자기의 뜻을 세워가면서 새로운 적응력을 발견해 나가는 미완의 불혹인 사십대가 되고 싶다. 조금 늦게 인생의 하프타임을 지나면서 삶의 중후한 안정감과 인생의 성숙함을 잠시 보류하더라도 새로이 맞는 삶의 재충전과 재기의 의욕을 굳건히 지켜 나가고자 한다.

노상문 공인회계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