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국무원 산하 사회과학원 직속 변강사지연구중심에서는 2002년 2월부터 '동북공정'이라는 국가적 프로젝트를 5년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이 '동북공정'에서 다루는 문제 중에서 고구려를 비롯한 고조선과 발해 등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한국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어 한국의 학계와 정부가 이에 대해 항의를 하고 역사왜곡의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내세워 소수민족 정책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이후에는 동북지방에 대한 관심이 더욱 각별해졌다.
1993년 고구려 학술회의에서는 중국학자들과 북한학자들 사이에 열띤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더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탈북자들이 대거 중국으로 넘어오는 사태가 빚어지자 동북지방의 정체성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하면서 대책을 세우게 됐다.
1996년부터 사회과학원 중점과제로서 동북지방의 연구기관들이 동북지방의 역사와 지리 및 민족문제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고구려를 중국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으로 보고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편입하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됐던 것이다.
그런데 2001년 한국 국회에서 재중동포의 법적지위에 대한 특별법이 상정되자 중국 당국은 조선족 문제와 한반도의 통일과 관련된 문제 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책을 세우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학문적 인해전술과 물량공세에 의한 역사왜곡에 대해 우리는 국제화와 정보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우리는 지금 중국이 고구려사를 어떻게 왜곡하고 있으며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도 참고할 만한 홈페이지 하나 제대로 가지고 있지 못하다.
고구려연구재단에서 포털 사이트를 구축중에 있으므로 조만간 일목요연한 홈페이지가 구축될 것이다. 해외동포들은 이 사이트를 통해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외국어로 번역해 자기 주변의 외국인들에게 중국의 역사왜곡의 배경과 내용 및 문제점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한편 외국의 역사 교과서중에는 한국의 역사를 왜곡한 내용들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해외동포들은 적어도 자기가 살고 있는 나라의 역사교과서나 역사사전 또는 포털 사이트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왜곡되어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고구려연구재단 등 한국의 역사관련 기관에 이를 제보하여 주기를 바란다.
그리고 왜곡되어 있는 역사교과서나 역사사전 등을 편찬한 기관에 시정을 촉구하는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왜곡된 내용이 올바로 시정될 때까지 본국의 역사관련 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하나하나 고쳐나가도록 하는 것이 한국과 자기가 살고 있는 나라의 관계를 더욱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2세와 3세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멀리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알려면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요즈음은 정보화 시대이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본인들이 먼저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갖고 많이 알려고 노력하고 이를 2세와 3세들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세와 3세들은 한국어를 잘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영어로 된 사이트를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해 정부와 학계 및 시민단체들이 본국에서 많은 노력을 하겠지만 해외동포들의 해외에서의 활동이 무엇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