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남세스럽다 / 남사스럽다
남에게 비웃음과 놀림을 받게 되는 것을 뜻하는 '우세' 또는 '남우세'라는 낱말이 예전부터 사용돼 왔다. 여기에 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는 '-스럽다'가 붙어 '우세스럽다' 또는 '남우세스럽다'는 말도 함께 쓰였다. '남우세'와 '남우세스럽다'는 다시 각각 줄어들어 '남세'와 '남세스럽다'가 됐다. 2011년 8월 이전에는 여기까지가 표준어로 인정됐다. 그러다 '남세스럽다'가 점점 발음이 변하면서 '남사스럽다'가 됐고 대부분 사람이 이렇게 말하다 보니 국립국어원도 결국 2011년 '남사스럽다'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게 됐다. 따라서 '우세스럽다' '남우세스럽다' '남세스럽다' '남사스럽다'는 모두 표준어다. 그렇다면 '남사시럽다' '넘사시럽다'는? 경상도 사투리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