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세의 여성이 소변에 피가 보여 내과에 갔었다고 합니다. 내과에서 방광염이라고 해 cipro라는 항생제 약을 1주일 처방 받았습니다.
그런데 1주일 후에도 계속 피가 난다고 하니까 이제는 그냥 한달 지켜보자고 했답니다. 방광염이 아니면 무슨 병이냐고 물었더니 그냥 좀 지켜보자고 해서 그 환자는 산부인과를 찾아왔습니다.
여러분 과연 어떤 병들이 여성들에게 소변에 피가 나게 할까요? 첫째, 흔히 방광염이 심해지면 방광 안벽이 손상되고 까지면서 모세혈관이 파괴되고 피가 소변에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항생제를 써서 균을 죽이면 방광 벽이 다시 아물고 건강해지면서 피가 멈추게 되어 있습니다.
둘째, 방광에 돌이 생기거나 신장에 돌이 생기면 소변에 피가 보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돌들이 신장이나 방광의 연한 세포를 자극하고 상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셋째, 방광암이나 신장암인 경우에도 소변에 피가 보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암세포가 자라면서 주위의 건강한 세포를 망가뜨리고 모세혈관을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생제를 써 보고 계속 피가 나오는 경우는 그냥 지켜 볼 수 있는 경우가 아닙니다. 암이 있을 경우에는 빨리 손을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분의 경우는 소변에 피가 보인다고 했지만 방광의 문제가 아니 었습니다. 내진 결과 이 환자의 질 분비물에 피가 섞여 있었고 초음파 검사에 자궁 안에 피가 고여 있는 것이 발견 되었습니다.
이 환자의 소변에 있는 피는 자궁 부정 출혈이었습니다. 이 피가 질에 고여 있다가 소변볼 때 흘러나오고 흡사 방광 문제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61세의 여성이 자궁 부정 출혈이 있다면 이것은 post menopausal bleeding 이라고 하고 이 상태는 폐경 후 부정 출혈 즉 암이 될 수 있는 굉장히 심각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바로 자궁 내시경을 하였더니 자궁 내막이 부풀어 있었고 조금 비지처럼 허물 허물 떨어지는 것이 암이었습니다. 그래도 조직 검사를 확실히 하고 어떤 암인지 따져서 그리고 정말 암인지 보고 난 다음 치료를 결정 해야 합니다.
일단은 초음파 검사로는 암이 자궁 내막 안에 국한되어 있고 자궁근육을 뚫고 지나간 것이 아니니 암이라고 병리과 조직검사 결과가 확정이 되면 바로 자궁 적출을 해 번지기 전에 손을 쓰면 약물치료나 방사선치료도 할 필요 없이 완치 될 수 있습니다.
이 환자는 한달 그냥 지켜보지 않고 바로 답을 찾으려고 노력을 했기에 암이 번지기 전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흔히 방광염으로도 소변에 피가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일단 항생제를 써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계속 소변에 피가 보일 때는 왜 그런지 확실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잘못하면 암을 키울 수도 있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암이 번지면 사망이라는 무서운 결과도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