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칼럼]가정 폭력: 불편한 진실 2

권미경 박사 정신건강전문가

가정 폭력이라 하면 흔히들 TV나 영화 등에서 나오는 신체적인 폭력만을 생각하실 겁니다. 하지만 가정 폭력의 종류에는 신체적인 폭력은 물론, 성적인 폭력, 정서적인 또는 심리적인 폭력, 그리고 경제적인 폭력 등 다양합니다. 신체적인 폭력에는 머리잡기, 뺨 때리기, 물기, 몸을 잡고 흔들기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성적인 폭력으로는 원치 않는 성관계, 강요에 의한 성관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적인 폭력은 상대방에 대한 적개심과 폭력에 기반을 두었기에 신체적인 폭력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신체적인 폭력과 성적인 폭력으로 상대 배우자를 학대하는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폭력보다도 큰 상해를 입히거나 살인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더 심각한 폭력입니다.

정서적인 또는 심리적인 폭력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서적인 또는 심리적인 폭력으로는 소리치기, 자존심 상하는 별명 부르기, 욕설하기,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통제하기 등이 있습니다.

경제적인 폭력으로는 금전을 수단으로 배우자를 통제하는 폭력입니다. 배우자 모르게 배우자의 돈이나 재산을 빼앗는 것을 포함하여, 배우자 모르게 신용카드를 해지하는 경우, 배우자의 경제 활동을 금지하는 행위, 배우자나 자녀들의 기본적인 생활을 위한 생활비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 배우자 모르게 빚을 지는 행위 등을 포함합니다. 이렇게 경제적인 수단을 폭력을 사용하는 것은 배우자를 자신에게 더욱 복종시켜 자신을 떠나지 못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가정 폭력은 피해자 본인은 물론 가정과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막대합니다. 대체로 가정 폭력이 오랜 시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발전하기에 피해자와 피해 자녀들은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약물 중독 등 정신 질환을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자녀들의 경우는 낮은 자아 존중감은 물론 발달 장애나 학교 생활 부적응 등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정 폭력에서 벗어났다 하더라도 가정 폭력으로 인한 정신 건강 문제들은 일상 생활을 지속적으로 힘들게 만듭니다.

▷문의: 703-957-8618 (홉스프링 아동 가족 상담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