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맞어→맞아 / 뱉아→뱉어
맞장구를 칠 땐 흔히 "맞어 맞어. 나도 그래"라고 한다. 하지만 '맞다'는 '맞아'로 활용되므로 "맞아 맞아"라고 표현하는 게 바르다. 한글맞춤법에선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ㅑ)' 'ㅗ(ㅛ)'일 때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는 '-어'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맞다'의 경우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이므로 어미로 '-아'가 와야 한다.'뱉다' '뺏다'도 자주 혼동하는 말이다. '뱉다' '뺏다'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니기 때문에 어미 '-어'와 결합해 '뱉어' '뺏어'로 활용한다.
"모든 생각을 말로 뱉아 낼 수는 없다" "희망을 뺏아 가지 마세요"와 같이 써서는 안 된다. '뱉어' '뺏어'로 고쳐야 어법에 맞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