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삼가하세요→삼가세요

Los Angeles

2015.08.28 19:3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꺼리는 마음으로 양이나 횟수가 지나치지 않도록 하다는 의미의 동사 '삼가다'를 '삼가하다'로 잘못 쓰는 사람들이 많다. "반려동물을 데리고 식당에 들어오는 일은 삼가하세요"에서 '삼가하세요'는 '삼가세요'라고 해야 바르다. 어간이 '삼가하-'가 아니라 '삼가-'이므로 '삼가고, 삼가니, 삼가야, 삼가시오'로 활용된다.형용사 어간에 '-어(아)하다'를 붙이면 동사가 되는 것이 우리말 어법이다. '반기다' '꺼리다' '삼가다'는 동사이므로 '-어(아)하다'를 붙일 필요가 없다. '반겨하다' '꺼려하다' '삼가하다'는 잘못 사용하는 말이다. 형용사 '기쁘다' '좋다'에 '-어(아)하다'를 붙여 '기뻐하다' '좋아하다'는 동사를 만드는 것과는 다르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