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산에는 동물성 기름인 포화지방산과 식물성 기름인 불포화지방산이 있다. 그동안 포화지방산은 심장병이나 비만 같은 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혈관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연구결과, 식물성 기름인 불포화지방산에도 동물성 기름 못지않게 혈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지방산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지방산이 바로 트랜스지방산이다. 트랜스지방산은 대부분 식용유의 공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는 경화 공정으로 생산된 부분경화유에 전체 지방의 40% 정도가 함유돼 있다.
또 식물성 기름(콩기름, 옥수수기름, 목화씨기름, 팜유 등)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고온처리(240℃)를 가할 경우에도 전체 지방의 2%가 생성될 수 있다. 트랜스지방은 주로 인위적으로 만든 가공유지를 이용하여 조리된 가공식품을 통해서 체내에서 섭취된다.
예를 들어 부분경화유를 원료로 한 마가린 및 쇼트닝으로 마요네즈, 케이크, 빵류, 가공 초콜릿 등을 제조하거나 감자튀김, 팝콘 등 부분경화유로 튀긴 음식에는 다량의 트랜스지방이 들어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트랜스지방 섭취량을 1일 섭취 열량의 1%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 이대일 원장은 몸에 해로운 지방 섭취를 줄이는 방법 8가지를 소개했다.
▶육류는 껍질과 지방층을 제거한 후 살코기만을 사용한다.
▶내장류, 베이컨, 핫도그, 소시지 등의 섭취를 줄인다.
▶튀김보다 찜, 구이, 조림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마가린, 쇼트닝, 마요네즈 등의 섭취를 줄인다.
▶적당량의 견과류와 고등어 같은 등 푸른 생선을 섭취한다.
▶고기 육수 사용 시, 위에 뜨는 기름을 걷어 내거나, 차게 식힌 뒤 굳은 기름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우유는 저지방이나 무 지방 우유를 선택한다.
▶커피는 되도록 프림이나 설탕을 첨가하지 않고 블랙으로 마신다.
# 건강 이야기-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