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에 어떤 책에서 사람들의 평균 정신 연령이 7살이라는 글을 읽고 '설마'하면서 쉽게 수긍하기가 어려웠었다. 그런데 나중에 '논어'를 읽으면서 주변 사람들을 보니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자는 논어에서 15세에 '지우학(志于學)'하여 30세에 '이립(而立)'하고 40세에 '불혹(不惑)'이 되었으며 50세에 '지천명(知天命)'하고 60세에는 '이순(耳順)'이 되었고 70세에는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不踰矩)'가 됐다고 한다.
15세에 지우학 즉 '배움에 뜻을 두었다는 것'은 '천명'과 '아침에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도'를 배우기로 인생의 뜻을 세운 것이다.
30의 '이립'은 이제 정신적 물질적으로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홀로서기'를 하여 스스로 인생을 헤쳐 나아갈 수 있게 됐다는 것이며 40에 '불혹'이라고 한 것은 세상의 권력 돈 명예 색(色) 어떤 것에도 미혹하지 않으며 진리가 아닌 것에 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50의 '지천명'은 하늘의 뜻 곧 진리를 알았다는 것이다. 60세가 되어 '이순'이 됐다는 것은 칭찬하는 말을 들어도 교만하지 않고 비난하는 말을 들어도 기분 나빠하지 않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들의 말을 다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
공자는 거기에서 10년을 더 수양해 70이 되어 '마음 내키는 대로해도 규범에 어긋남이 없는' '종심소욕불유구'의 경지에 이른다. 이러한 경지는 정말 도달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70세를 '옛부터 드물다'는 뜻으로 '고희(古稀)'라고 했다. 이 말들은 공자가 수양을 통해 해당 연령대에 도달한 경지이니 육체의 나이가 아니라 인생이라는 여정에서 성취해야할 정신 연령의 경지이다.
자기 인생에 천명 곧 진리를 알고자 하는 목표를 굳건히 세운 사람이 몇이나 될까. 절반이나 될까. 절반도 안 된다면 공자의 15세 지우학이라는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사람들의 평균 정신 연령이 7살이라고 하는 것도 과히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미운 일곱 살이라고 했던가.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자기밖에 모르는 나이가 7살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육체의 나이가 든 사람은 많다. 그러나 참으로 지천명하고 종심소욕불유구하기는 커녕 지우학하여 이립하고 불혹이 된 사람조차도 보기 드물다. 흔히 불혹의 나이 어쩌고 하며 떠벌리거나 글을 쓰는 사람들은 보지만 참으로 돈 권력 명예 색에 혹하지 않고 사이비에 혹하지 않은 사람을 보기 힘들다. 자칭 지도자연 하며 국민을 위해 일한다고 하는 사람일수록 권력욕이나 명예욕의 화신인 경우가 많다. 온갖 부정부패와 스캔들에 휩싸이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정신연령 7살짜리들의 모습이다.
외람되지만 가까이서 자주 만나는 사람들 중에도 연장자라며 어른 대접 받기를 바라는 사람은 많지만 참으로 정신 연령이 공자가 말한 바와 같이 성숙해 보이는 참 어른들을 뵙기가 힘들다. 나 스스로도 마찬가지다.
아름다운 여인을 보면 가까이 해보고 싶고 좋은 집에 가보면 나는 저런 집에 언제 살아보나 싶고 좋은 차를 봐도 갖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 불혹조차 이렇게 어렵거늘 어느 세월에 지천명하고 이순하며 종심소욕불유구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