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인 요즘 배탈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는 식중독 환자도 늘어나는 시기다. 가족 중에 할아버지 할머니가 설사를 하면 긴장해야 한다. 설사를 통해 수분이 대거 빠져 나가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몸의 체액량이 부족해진 상태를 탈수라고 한다. 젊은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안 되지만 노인은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다. 병원에 입원하는 65세 이상 환자 중 약 절반이 탈수와 관련되어 있다는 통계 자료가 이를 뒷받침한다. 그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우리 몸의 수분 비율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이다. 유아는 체중의 약 70%가 수분이지만 노인은 50-55%로 떨어진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물을 덜 마시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노인은 감각기능이 약해지면서 갈증중추(thirst center)의 기능도 떨어져 체내 수분이 감소해도 목마름을 못 느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분 저장 창고 역할을 하는 근육이 줄어들어 체내 수분량이 감소한다. 신장기능도 떨어져 수분 재흡수 기능의 감소로 소변량이 많아지는 것도 원인이다. 이 같은 이유로 노인들은 만성적인 수분 부족이 생길 수 있다.
노인들은 설사를 할 경우 지사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설사는 세균이나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려는 일종의 방어작용이다. 지사제는 말 그대로 설사를 멈추게 하지만 나쁜 균과 독소가 장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병을 더 지속되게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점액질이 있는 변이나 피가 섞인 설사를 할 때는 상태가 더 위험해질 수 있다.
# 건강 이야기-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