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여성마당]가족(Family)의 어원을 아십니까?

San Francisco

2007.03.26 09: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서인원(오라클 시니어 매니저)
“가정은 나의 대지이다.
나는 거기서 나의 정신적인 영양을 섭취하고 있다.
” - Pearl Sydenstricker Buck (펄 벅) 미국 작가 [1892∼1973] -
로버트 짐러의 현대식 이솝우화에 한 이야기가 나온다.
여우가족이 부자들이 사는 교외 고급 주택 지구로 이제 막 이사하였다.
여우가족은 이 부자 동네 가운데서도 최상류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컨트리클럽 회원으로 가입하고 싶어하였다.
여우가족은 그들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선심 공세를 폈다.
아빠 여우는 일부러 시간을 내어 사람들을 만나고, 맥주도 사고, 골프 비법도 가르쳐주고, 필드 잔디를 잘 기르는 방법도 가르쳐주었다.
엄마 여우는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담백한 디저트, 아이들 쿠키, 기막히게 맛있는 케이크 굽는 법을 자상하게 가르쳐주었다.
아들 여우는 자기 학교 남학생들과 이웃 아가씨들 사이의 미팅을 주선하고, 딸 여우는 무보수로 동네 아이들을 돌보아주었다.
그렇게 얼마를 지난 후, 상류층 컨트리클럽 회원들이 모여 여우가족의 회원 가입 여부를 심사하였다.
심사 결과, ‘가입 불가’였다.
여우가족에 대한 회원들의 평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우가족은 너무 아는 체를 많이 합니다,”“여우가족은 언제나 자기들만 잘난 체합니다,”“여우가족은 어디서든지 생색만 내려는 속물 근성이 있는 것 같아요…” 여우가족건이 끝난 후, 토끼 가족의 회원 가입 여부를 심사하였다.
심사 결과, ‘가입 허락’이었다.
토끼 가족에 대한 회원들의 평이 좋았기 때문이다.
“얼마 전, 아빠 토끼가 우리 집 장미가 잘 핀 것을 보고 크게 감탄하면서 장미를 잘 기르는 법을 좀 가르쳐달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내가 자세히 가르쳐주었지요. 좀 소심하긴 해도 점잖은 가족이라고 생각했어요.” “며칠 전, 엄마 토끼가 수프를 맛있게 끓이는 비법을 좀 가르쳐 달라고 해서 내가 잘 가르쳐주었지요. 뭘 모른다고 할까, 순진하다 할까, 아무튼 참 정이 가는 가족들이었어요.”“우리 딸아이가 그러는데 아들 토끼가 우리 동네 좋은 친구들이 있으면 좀 소개 시켜 달라고 부탁을 했다더군요. 여러분들의 이야기를 쭉 들어보니 토끼 가족에게 우리 클럽 가입을 허락하는 것이 옳을 듯 싶어요.”
성공한 스테이크 하우스 ‘아웃백’은 고객들로부터 메뉴를 제안 받아 포상을 하는 제도를 시행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고객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메뉴를 제안하고 받아들여지면 더욱더 아웃백에 애착을 갖게 되고, 또한 그들의 입맛에 부응하는 고객들이 제안한 메뉴들이 더욱 인기가 많다고 한다.

델 컴퓨터는 아이디어스톰이라는 사이트를 만들어서 고객들의 각종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있다.
이 사이트를 오픈한 이후 단 5일 만에 1,300여개의 아이디어가 접수되었고 이 아이디어에 대해 다른 고객들의 평가가 12만 건이 이루어 졌고, 이로 인해 고객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탈리아 경제학자 팔레토의 이론, “전체 결과의 80%는 전체 원인 중 20%에서 비롯됐다”는 이론이 사회경제 전반에 많이 적용되어 왔었다.
즉, 기업들은 지불능력이 많은 소수의 주요 고객들에게 집중적인 많은 관심을 가져 왔다.
그러나, 이제는 점점 더 많은 회사들이 소외되었던 다수의 소규모 고객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하고 있다.

행복지수(Happiness Quotient)는 감사지수(Gratitude Quotient), 성취지수(Achievement Quotient), 그리고 원망지수(Blame Quotient)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의 관련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행복지수=성취지수× 감사지수 ÷ 원망지수”이다.
즉, 행복은 감사와 성취도와 비례하고, 원망에 반비례한다.
이로 인해 비슷한 환경의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행복지수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남들이 보기에는 행복할 것 같은데 본인자신은 “그렇게 행복한 사람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 속에서의 인간관계, 건강, 업무, 취미, 재정활동 등 전반에 걸쳐 개인적인 실질적이고도 체험적인 성취도를 높여가야 하며, 감사를 느끼며 또한 표현하며, 원망과 불평의 말과 마음을 품지 않아야 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욱더 가족이라는 말은 생각만 해도 눈물이 핑 도는 깊고 따스한 단어가 되어간다.
“Family (가족)”의 어원은 “Father And Mother, I Love You”라고 한다.
가족이란 단순한 혈연적 사랑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가족이 지니는 보다 소중한 의미는 오랜 세월 믿고 지켜봐주는 누군가가 가까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로버트 짐러의 우화에 등장하는 상류층 컨트리 클럽은 능력이 많은 여우가족보다는 컨트리 클럽 회원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감사를 할 줄 아는 토끼가족을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경우는 일반 회사 및 각종 사회단체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아웃백과 델 컴퓨터는 고객들에게 귀를 기울이며 그들에게 감사함을 표현함으로 더욱 고객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 맺어진 모든 관계에서도 가족들에게서 볼 수 있는 귀 기울임, 관심, 도움요청, 믿음, 사랑, 그리고 감사의 애틋한 관계를 맺어 나아가야 한다.
토끼가족처럼 지혜롭게 살아 최고의 컨트리클럽 회원이 되어보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