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 코트 드 누이의 소지역 와인을 하나씩 자세히 알아 보기 전에 몇가지 알아 둘 점이 있다.
보르도 와인은 대부분의 와이너리 이름 앞에 샤토(Chateau)가 붙어 있다. 대부분 어느 정도의 생산 규모가 있고 샤토에서 병입을 했다는 표시(Mis en Bouteille au Chateau)가 붙어 있는 와인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품질의 균일화와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샤토는 자기 포도밭이 있고 거기에서 와인을 생산하는게 상례다.
이에 반해 부르고뉴 와인은 대부분의 와인 앞에 도맹(Domaine)이 붙어 있다.
'성'이라는 의미의 샤토보다 '영지'라는 뜻의 도맹이 더 잘 어울릴 만큼 부르고뉴 와이너리들의 생산 규모는 작다.
지금도 네고시앙(negociants;영어의 브로커와 비슷한 뜻)이라는 와인 생산자가 여러 군데 포도밭의 포도를 구입해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루이 자도(L. Jadot) 조셉 드루앵(J.Drouhin)이 규모가 큰 네고시앙들이다.
이들 네고시앙들이 요즘은 부르고뉴의 포도밭을 매입해 키운 포도로 와인을 생산 하지만 그래도 많은 포도를 여러 포도밭에서 구입해 만든다.
앞으로 소개될 코트 드 누이의 소지역을 살펴보면 즈브리 샹베르탱(Gevrey-Chambertin)과 모리 생 드니(Morey-Saint-Denis)를 비롯해 샹보예 뮈지늬(Chambolle-Musigny) 부조(Vougeot) 플라지 에셰조(Flagey-Echezeaux) 본 로마네(Vosne-Romanee) 누이 생 조르쥬(Nuits-Saint-Georges) 등이 꼽힌다.
이 지역 안에서 핵심 지역은 그랑 크뤼 프르미에르 크뤼 등으로 나뉘어 진다. 프르미에르 크뤼는 굳이 하나하나 이름을 다 알아둘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프르미에르 크뤼 앞에 지역 이름이 나오기 때문이다.
예로 잘 알려진 샹보예 뮈지늬의 대표적인 프르미에르 크뤼 '레 자무뢰제'의 경우 라벨에 ' Chambolle-Musigny 1er Cru Les Amoureuses'라 표기가 돼 이 포도밭이 샹보예 뮈지늬에 속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고 수준의 그랑 크뤼는 앞에 이런 지역 이름이 붙지 않는다 그래서 어느 그랑 크뤼가 어디에 속하는 가는 외워 두는게 좋다. 각 지역의 그랑 크뤼 포도밭을 지역 이름 뒤에 붙여 보면 우선 9개의 그랑 크뤼가 있는 즈브리 샹베르탱에는 샹베르탱(Chambertin) 클로 드 베즈(Clos de Beze) 샤플르 샹베르탱(Chapelle-Chambertin) 샤르므 샹베르탱(Charmes- ) 마즈와예레 샹베르탱(Mazoyeres- ) 그리오트 샹베르탱(Griottes- ) 라트리시레 샹베르탱(Latricieres- ) 마지 샹베르탱(Mazis- ) 뤼쇼트 샹베르탱(Ruchottes- ) 등이 있다.
4개의 그랑 크뤼가 있는 모리 생 드니는 클로 드 라 로슈(Clos-de-la-Roche) 클로 생 드니(Clos-saint-Denis) 클로 데 랑브래(Clos-des-Lambrays) 클로 드 타르(Clos-de Tart) 그리고 약간의 르 본느 마르가 샹보예 믜지늬와의 경계에 걸쳐져 있다.
샹보예 뮈지늬에도 2개의 그랑 크뤼가 있는데 르 뮈지늬(Le Musigny) 레 본느 마르(Les Bonnes-Mares)로 이루어져 있다. 부조는 하나의 그랑 크뤼만 있는데 클로 드 부조(Clos-de-Vougeot) 가 바로 그 것이다.
플라지 에셰조에는 그랑 제셰조(Grands-Echezeaux)와 에셰조(Echezeaux)가 있는데 이 둘 다 본 로마네에 속 한다고 볼수도 있는 지역이다. 본 로마네는 6개의 그랑 크뤼가 있다.
라 그랑 루(La Grande Rue) 라 로마네(La Romanee) 라 타슈(La Tache) 로마네 콩티(Romanee-Conti) 리셰부르(Richebourg) 로마네 생 비방(Romanee-Saint-Vivant) 등이 그 것이다.
한 소지역 마다 특성이 있고 한 포도밭 마다 그 개성이 있다. 다음주에는 부르고뉴의 왕자라 불리는 즈브리 샹베르탱 지역의 와인을 알아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