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인지 구름위에 떠 있는지 분간이 안된다. 대서양에서 시작하여 미시시피강까지 흙 한번 밟지 않고 산 위로만 갈 수가 있다.
블루릿지 파크웨이 정상에서 내려다보이는 산 아래 모습이 절경이다.
서부쪽에 비하면 산들도 그리 높지 않다. 그래도 제일 높은 산만을 골라 제일 높은 능선위로만 길을 만들었는데 그 길이가 자그마치 469마일이란다.
세난도 국립공원이 끝나는 록피시 갭에서 64번과 250번을 막 건너자 마자 오른쪽으로 안내소가 있다. 안내원 말이 여기서 부터 남쪽 블루릿지 파크웨이(Blue Ridge Pwy)가 끝나는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Great Smocky Mt.)까지 전구간을 제대로 구경하려면 5일 이상이 걸린단다.
지긋이 눈을 감고 묵상을 해 본다.
평지도 아닌 산상의 험한 길을 만들기 위해 수십년 동안 그들의 수고가 얼마나 많았겠나?
1930년대 당장 먹고 살기도 어려웠을 때이다. 1950년대 한국의 보릿고개가 연상된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세계 제2차 대전 중이었다. 실업자들이 일자리가 없어 거리를 방황하고 있을 때였다.
당시 정부는 후버댐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벌려 실업자를 줄이는 정책을 펴 나가게 되었다. 블루리짓 파크웨이를 만들게 된 동기다.
지금같이 최신식 장비가 있는 것도 아니다. 인력을 줄이기 위한 공사가 아니라 오히려 인력을 늘리기 위한 공사였기 때문에 무려 50년에 가까운 반세기 만인 1987년에야 전 구간의 공사를 마친 대장정의 역사였다.
그후 이 블루리지 파크웨이는 레저용 도로로는 미국내에서 손 꼽히는 명소로 알려졌으며 이곳을 찾는 방문객은 매년 1000만명이 넘는다.
이곳을 올적마다 필자는 후회가 많다. 왜 진작에 작문 공부라도 하여 이곳이 연출해 내는 진 풍경들을 잘 표현하여 독자들이 신문만 읽어봐도 생생하게 감동을 느낄수 있도록 글쟁이가 되지 못 했나하는 후회 말이다.
앞으로 몇회에 걸쳐 연재할 블루릿지 파크웨이는 버지니아주에서 시작해 노스 캐럴라이나주까지 산 정상의 스카이 라인으로만 장장 470마일을 달리는데 룩 아웃트 포인트(Look Out Point)만 41군데가 있고 터널은 16군데가 있다. 중요한 부분만을 골라 독자들에게 소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