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조지훈 평전 낸 아들 조광렬

수필가 아들이 본 시인 조지훈은…

600페이지 넘는 평전은 회고록이자 가족사
건축가서 작가로 변신한 아들의 3년 역작

"아버지는 '세상과 어울리기 힘든 사람'이라고 늘 말씀하셨습니다. 저도 아버지가 되고 세상을 살다보니 이제서야 새삼 그 말씀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버지는 '지조의 시인' 아니 그보다 더 유명한 청록파(靑鹿派)의 한 사람인 조지훈(1920~1968)이다.

세상살이 모른 채 문우들과 모여 시를 논하고 시를 교환하며 시집을 내다 요절한 그 시인의 장남이 환갑을 넘어 부친의 시와 삶을 회고하는 평전 '승무의 긴 여운 지조의 큰 울림: 아버지 조지훈-삶과 문학과 정신'을 냈다.

◇시인 아버지수필가 아들=아들 조광렬(62)씨는 퀸즈 더글러스턴에 사는 건축가다. 시(詩)와 학문 나라 걱정에 가정을 뒷전으로 하던 글 짓는 부친에 반발한 아들은 사람들이 사는 터를 짓기 위해 미국 유학까지 왔다. 그 아들이 59세에 수필가로 등단 후 최근 3년간 부친의 회고록에 매달렸다.

"아버지가 생전에 가족문집을 내자하셨던 적이 있지요. 처음에는 우리 아이들에게 남기고 싶어서 시작했던 글이 일반 독자에게 읽기 좋은 책이자 전문가들도 만족할 수 있는 책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방대한 분량이 됐습니다."

629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은 가족사이자 평전이며 회고록이다.

◇승무에서 청록파까지="한국은 시집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나라입니다. 한국인만큼 시를 사랑하는 민족이 또 없지요."

조지훈 시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승무'는 조 시인이 약관 16세에 쓴 시였다. 한성준 최승희 수원 용주사 이름 모를 승려의 춤을 본 후 2년간 갈고 닦아 탄생한 불후의 명작이다.

"얇은 사(紗) 하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네라/ 파르란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일제강점기에서 해방기 그리고 독재정권을 지나면서 조 시인은 선비정신을 일깨운 행동하는 지성이기도 했다. "지조는 선비의 것이요 교양인의 것이며 지도자의 것이다"라고 설파한 조 시인의 언행일치 행적은 오늘날 많은 것을 시사한다.

"꽃이 지기로소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에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낙화(落花)-

스무살 때 조 시인이 창씨개명을 피해 첩첩산골 오대산 월정사로 은둔해 쓴 이 시는 관조의 미학의 돋보이는 작품이다.

'문장'지로 등단한 청록파 시인 박두진.박목월.조지훈은 60세가 되어 '백록파' 문집을 내자고 약조했지만 조 시인이 먼저 세상을 떠났다.

72년 남산에 2006년 고려대학교 교정에는 시비가 세워졌고 지난 5월엔 고향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는 지훈문학관이 개관했다.

◇글 짓기와 집 짓기="'시인의 아들'이라는 점이 살아가는데는 손해였지요." 조광렬씨는 부친의 명성으로 인한 선입견으로 불편한 사회생활을 감수해야 했다.

해방둥이로 주실마을에서 태어난 조씨는 홍익대학교 건축과를 졸업 후 현대건설에서 근무하다 미국으로 유학왔다. 조지아 공대에서 건축과 도시계획으로 석사를 받은 조씨는 83년 귀국해 쌍용.현대.선경 등 대기업의 이사를 거쳐 건축사무소를 운영했다. 그렇게 9년을 살다가 미국으로 역이민을 왔다.

"한국은 울타리를 짜놓고 아웃사이더를 만들어 배척하는 사회입니다. 해외파를 이방인 취급하고 끼리끼리 모이는 조직에서 줄서기가 싫었지요."

미국에서 건축가로 현장을 진두지휘했던 조씨는 늦게 시작한 글쓰기에 전적으로 매료된 듯 하다. 혼자 할 수 있는 예술 글쓰기는 진통이 많지만 결국 자기만족이라도 느낄 수 있는 예술이라는 것이다.

"글 쓰는 것은 고통스럽지요. 하지만 문학처럼 깊고 긴 영향력 있는 예술이 또 어디 있을까요?"

조씨는 최근 '태초에 멋이 있었다'라는 수필집도 냈다. 그는 부친의 그림자와 영혼을 되새기며 글 짓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있다.

박숙희 기자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