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 역사 칼럼] 양키와 딕시는 무엇인가?
우리는 중국사람을 ‘뙤놈’이라고 부르고, 일본사람을 ‘쪽바리’라고 비하해 부르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심지어 우리 자신을 ‘엽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렇듯 어느 민족에게나 민족을 싸잡아 자칭으로든 타칭으로든 얕잡아 부르는 별명이 있다. 미국인을 포함한 서양인들은 일본사람을 ‘Japs’라고 하고, 중국 사람을 ‘Chinks’라고 비하하기도 한다.예전 한국에서 서양사람을 보면 ‘코쟁이’ 혹은 ‘양키’라고 얕잡아 불렀다. ‘코쟁이’는 코가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렇게 불렀겠지만, ‘양키’에 대해서는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지 알지 못하면서 그냥 백인이라는 뜻으로 그렇게 불렀다. 사실 ‘양키’는 백인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미국사람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며, 특히 북부 미국인을 가리킨다. 반면에 미국에서는 남부 미국인을 ‘딕시’라고 부른다. 양키와 딕시에 관하여 이해하여 두면 좋을 듯하다.
양키(Yankee)라는 단어가 어디서 유래했는가에 대한 설은 다양하다. 그중에 가장 설득력이 있는 설이 네덜란드 식민지 뉴암스테르담에서 왔다는 주장이다. 그 주장의 내용은 대강 다음과 같다. 1626년 네덜란드가 지금의 맨해튼을 24달러 상당의 조가비를 주고 사서 ‘뉴암스테르담’이라고 불렀다. 이 땅을 50년쯤 후에는 영국이 빼앗아 가로채고는 ‘뉴욕’이라고 불렀다. 아마도 이때부터 뉴욕 지방에 남아 있던 네덜란드 사람들을 영국 사람들이 ‘양키’라고 얕잡아 불렀을 것으로 추측된다는 것이다. 즉, ‘얀’이라는 말은 영어의 John에 해당하는 네덜란드 말 Jan(얀이라고 발음)이고, ‘키’는 네덜란드 사람들의 흔한 성인 ‘Kaas’가 변한 말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양키’는 ‘김철수’쯤에 해당하는 말이며 결국 뉴욕 지방에 살던 네덜란드 사람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이 말의 뜻이 점점 확대되어 미국 뉴잉글랜드 지방의 사람들을 비하해 부르는 말이 되어 버렸다고 한다. 좌우간 현재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은 미국인을 ‘양키’라고 하고, 미국 사람들은 뉴잉글랜드 지방 사람을 ‘양키’라고 부르는 것으로 대충 정리된 것으로 보면 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조크도 있다. 다른 나라 사람들은 미국 사람들을 양키라고 부른다. 미국 사람들은 북부 사람들을 양키라고 부른다. 북부 사람들은 동북부 사람들을 양키라고 부른다. 동북부 사람들은 뉴잉글랜드 사람들을 양키라고 부른다. 뉴잉글랜드 사람들은 버몬트 사람들을 양키라고 부른다. 버몬트 사람들은 재래식 화장실을 쓰는 버몬트 사람들을 양키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남부 사람들을 ‘딕시’라고 부르는데, ‘Dixies’의 어원에 관해서도 몇 가지 설이 있는데, 1760년대에 펜실베이니아와 매릴랜드 식민지 사이의 영유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측량사들이 그은 메이슨-딕슨 라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제법 그럴듯하다. 메이슨-딕슨 라인은 나중에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지역과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지역을 가르는 경계선이 되기도 했다. 대체로 이 선의 남쪽은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지역이고, 북쪽은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지역이었다. 1861년 남북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는 당시 미국 연방에서 탈퇴하여 남부 연합을 이룬 11개 주를 이르는 말이 되었다.
이 지역은 남북전쟁에 패한 앙금이 남아서 공화당에 대한 반감으로 100년 동안 민주당을 극렬하게 지지하다가 2000년 전후부터는 공화당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딕시’는 남부 사람들을 비하해 부르는 말은 아니고, 오히려 남부 사람들이 자신들의 자부심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기도 하다. 남부 사람들을 얕잡아 보고 부르는 말로는 ‘레드넥’이 있다. ‘Red Neck’이라는 말은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목덜미가 햇볕에 그을러서 빨갛게 된 시골 백인들을 일컫는다. ‘Red Neck’이 저학력, 저소득의 남부 시골 백인을 뜻한다면, 도시의 저학력, 저소득의 육체 노동자들을 ‘White Trash’라며 경멸조로 부르기도 한다.
좌우간, 세상에는 상대방을 비하하는 말이 많다. 이렇게 상대를 비하하는 말은 듣고 이해하는 수준으로 끝내야지, 상대방에 대한 호칭으로 함부로 쓰다가는 큰코다칠 수 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