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한국인 머리 크기 광복 후 커졌다

Los Angeles

2018.08.13 19:4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고대 유임주 교수팀 분석
30년대·70년대 출생자 비교
"해방 후 사회적 변화 반영"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과 산업화 등을 거치는 동안 한국인의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크게 달라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보다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두개강 부피와 머리뼈의 높이 너비 등 전반적인 머리 크기가 40년 새 6% 가량 커졌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유임주 교수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1930년대와 1970년대에 각각 태어난 한국인 115명의 머리를 촬영한 뒤 3차원으로 재구성해 연구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1945년 광복을 기준으로 전후 약 40년간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1930년대 출생자 58명(남 32명·여 26명)과 1970년대 출생자 57명(남 28명·여 29명)의 머리 크기를 측정했다. 이 시기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과 산업화 등 역사적으로 굵직한 사건이 산재해 있어 사회·경제적 변화가 머리 크기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정에서다.

그 결과 사회경제적 안정을 찾은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머리뼈 안쪽 즉 두개강의 부피는 1930년대 출생한 사람에 비해 평균 약 90㎖ 컸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