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테마진단] 칼 로브의 '부통령 만들기'

Los Angeles

2008.09.05 19:4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김동석/한인유권자센터 소장
부시 대통령을 텍사스 주지사로 만들고 연임 대통령의 자리에 앉혀 미국에서 최초의 부자 대통령의 신화를 쓴 칼 로브. 그는 정치 컨설턴트 세계에서 '전설적인 킹 메이커'로 불린다.

칼 로브는 여러 가지 치명적인 스캔들에 연루 됐었지만 대통령은 그를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여론에 밀려 그는 스스로 백악관을 나왔고 정치(선거전)평론가의 길을 가고 있다. 그는 2008년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면서 폭스뉴스에 고정출연 선거 해설을 하고 있다. 그의 특기는 소위 기대치(Expectation)전략 이다.

미디어를 통해 자기가 내세운 후보의 강점에 맞게 유권자들의 요구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는 유권자들의 시선을 끌어 모아 후보의 지명도를 높여서 지지율을 높인다. 그래서 칼 로브는 "공중파 미디어만 움직일 수 있으면 무엇이든 한다" 며 대통령선거를 '돈선거'의 경쟁의 장으로 만들었다. 공중파 TV 정치광고료를 크게 높여 놨기 때문에 미디어 회사에선 그를 돈벌이의 은인으로 여기고 있다.

공화당의 부통령 후보로 지명된 '새라 페일린' 알래스카 주지사에 관한 이야기가 대선전의 전체를 뒤엎고 있다.

그녀의 17살난 딸이 임신했다는 것과 이혼한 여동생의 남편을 경찰직에서 해고하라고 알래스카 경찰국장에게 압력을 행사했다는 것 또한 그녀의 남편이 알래스카 독립당원 오순절 교파의 교인(지나친 신비주의자)이라는 것 등 부통령 자격문제 시비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심지어 어떤 언론에서는 아직도 매케인이 후보를 교체하지 않았는가? 란 보도를 할 정도다.

공화당 전당대회 개막일엔 뉴올리언스에 상륙한 허리케인으로 인해 그야말로 전당대회가 시골동네 거리의 페스티벌 정도로 그치고 말았다. 공화당은 초조했고 매케인 캠프는 당황했다. 국면타개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했다.

매케인의 최측근인 마크 샐터(Mark Salter)가 긴급하게 '칼 로브'를 만났다. 상황반전을 위해 훈수를 요청한 것. 로브의 훈수는 "페일린을 더 노출시켜 미디어의 포로로 만들어라 그리고 모든 논의를 그 안에 가두어라"란 '칼 로브'다운 발상이다.

그래서 매케인 진영은 부랴부랴 딸을 임신시킨 그야말로 '사고치고 횡재한' 예비사위까지도 끌어내 전당대회장으로 오도록 했다. 어린 딸아이가 갓난아기 동생을 끌어안게 했다. 부통령 후보직을 수락하는 페일린의 연설에선 구체적으로 오바마를 겨냥했다. 최초의 여성이냐(부통령) 아니면 최초의 흑인(대통령)인가로 몰고 가고 있다.

페일린이 오바마를 상대함 으로써 매케인은 자동적으로 황제가 된 것이다. 매케인은 그대로 국가제일주의(Country First)만 부르짖으면 된다.

모든 국민의 관심은 페일린이 부통령 후보로 괜찮은가가 아니고 그녀가 이러한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집중됐다. 대담한 여성지도력 철저한 낙태 반대의 소신 과감한 돌파력 등이 이야기 거리가 되었다. 순식간의 일이다.

새라 페일린의 등장 속에 칼 로브가 엿 보인다. 국민들의 시선을 모아서 기대치를 바꾸었다. 그녀의 문제가 오히려 그녀를 화려하게 치장하고 있다. 칼 로브의 전략과 기술이다.

전당대회장인 엑셀 에너지 센터 바로 맞은편의 세인트폴스 호텔은 애리조나주 대의원들의 숙소다. 필자는 매케인 전략팀을 만날 기대로 그 호텔의 로비에서 죽치다가 예상 밖의 횡재를 했다. 칼 로브와 마크 샐터가 만나는 것을 목격한 것.

새라 페일린 러닝메이트와 구스타프 허리케인으로 인해 불안하게 개최된 공화당 전당대회가 이렇게 국면전환을 하면서 마무리하는구나. 역시 칼 로브란 생각이 들었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