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에서 안으로의 스윙 궤도인 오버 더 탑 다운스윙은 슬라이스를 내는 사람들의 대표적인 특성이다."
머릿속에 온 플레인 스윙의 개념이 확실하게 서게 되면 자신의 클럽이 너무 가파른지 아니면 너무 완만한지 스스로 알게 된다. 거울 앞에 서서 클럽이 정상적인 플레인 위에 있는지 아니면 밑에 있는지 분석 한다.
만일 '슬라이스가 나고-뒤땅을 깊게 파고-드라이버 샷이 위로 솟구치고-토우 샷'이 난다면 그것은 분명 스윙 플레인 이 너무 가파른 것이다.
그리고 '훅이 나고-뒤땅을 전혀 때리지 못하는 엷은 샷이 나고-힐 샷'이 난다면 그것은 분명 다운 스윙 플레인 이 너무 완만한 것이다. 만약 스윙 플레인이 너무 가파르다면 먼저 백스윙을 관찰 해봐야 한다.
백스윙 과 다운스윙이 모두 가파른지? 백스윙은 완만하고 다운스윙이 가파른지? 아니면 백스윙은 온 플레인 이고 다운스윙이 가파른지를 잘 살펴 봐야한다. 대개의 경우 가파름은 사진<1>처럼 완만한 백스윙으로 인하여 사진<2>처럼 다운스윙 초기에 발생한다.
결과는 다운스윙에서 클럽이 어드레스 때 정립된 스윙 플레인 위에서 너무 가파르게 볼 위로 근접하게 되어 일생동안 슬라이스를 제거 할 수 없게 된다.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좌우간 스윙을 왼쪽으로 하게 되는 "밖에서 안으로의 스윙 궤도"는 많은 문제를 안게 되고 많은 시간을 빼앗아 가버린다.
이런 스윙 궤도는 어깨가 다운스윙을 리드하게 되면서, 클럽 헤드를 목표선 밖으로 던져 버리게 되여, 클럽 헤드가 볼 위로 너무 가파르게 스윙되어 내려오기 때문에 천부적인 재능을 갖고 있지 않는한, 손을 아주 빠르게 쓸 수가 없어, 클럽 페이스를 스퀘어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게 되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사이드 스핀'을 볼에 부과하게 된다.
반면에
<사진3>
처럼 감김이 제대로 된 보다 더 큰 어깨의 회전과 더불어 좀 더 넓은 폭의 아크를 몸 앞에 형성케 되면 이 문제는 아주 쉽게 해결된다.
그러나 '밖에서-안으로'의 '스윙-궤도'에서, 클럽 페이스가 볼에 스퀘어 된다면 볼은 목표의 왼쪽을 향하여 똑바로 날아가는 '풀'이 된다. 끝으로 슬라이스가 나는 단한가지 이유는 임팩트 시 클럽 페이스가 오픈 된다는 사실을 명심 하도록 하자.
타이거 우즈의 스승인 행크 헤인니와 장 석기 교수는 "온 플레인 스윙 이론"의 대가이며 "숏 게임"의 전문가이다. 장 교수는 행크의 제자로서 그의 어시스턴트 겸 총괄 헤드 프로인 '티칭 디렉터'로 활약하고 있다.
PGA-LPGA-AJGA을 위한 행크와 장 교수의 '온 플레인 골프 스윙'은 흔들림이 거의 없다. 더불어 '퍼팅-치핑-로우 피치-스탠더드 피치-하이 피치-벙커 플레이-트러블 슈터'같은 '숏 게임의 테크닉'을 예술의 경지까지 이끌어 준다. 단 인성교육과 예의범절을 제대로 갖춘 자를 선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