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파니 장의 신흥 아이비리그 탐방] (3) 카네기 멜론 대학교
컴퓨터·경영학 접목 학과 전국 최고
비즈니스 스쿨 치열…합격률 13%
스코틀랜드 전통 살린 봄의 축제 인기
남북전쟁이 끝난 후 기업가들은 전례없는 부의 축적을 이뤄냈고 그로 인해 자기 가문의 이름을 딴 대학교를 설립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워싱턴 듀크는 듀크대를 러랜드 스탠퍼드는 스탠퍼드 대를 존 록펠러는 시카고대를 코넬리우스 벤더빌트는 벤더빌트대를 피비 허스트는 UC버클리대를 설립했다. 카네기 멜론대 역시 그 중 하나다.
현재 카네기 멜론대는 컴퓨터 공학 경영학 공공정책 심리학 미술학과가 가장 경쟁력이 있다. 특히 컴퓨터와 경영학을 함께 공부할 수 있는 대학원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단연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학교는 1900~1912년까지 카네기 공업학교로 1912~1967년까지 카네기 공과대로 불렸다. 1967년부터 카네기 멜론대로 불리고 있다.
이 학교는 1835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카네기의 영향으로 여러가지 면에서 스코틀랜드의 전통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은 전통을 엿볼 수 있는 행사가 봄에 열린다. 카네기 멜론대의 봄 축제는 교수 학생 동문 들이 모두 함께 시간을 보내는 특징이 있다.
카네기 멜론대는 미국 최초로 공과 계통의 학과를 설치한 대학으로 유명하다. 2001년 처음으로 대학교 캠퍼스 전체에 무선 인터넷을 설치했다. 새로운 테크놀로지 분야에 뛰어난 학생들이 펼치는 봄 축제는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모밧(Mobot -Mobile Robot)이라 불리는 로봇 차량 달리기 경주와 버기(Buggy)라고 불리는 밀차 경주대회가 열린다.
1994년부터 시작한 모밧 경주는 모밧이 혼자서 캠퍼스에 그려진 하얀 선을 따라 달려 결승점에 이르는 대회다. 모밧이 길을 얼마나 잘 찾아 스스로 움직이는가에 따라 승패가 결정난다.
버기 경주는 매년 학생들이 직접 고안한 소형 엔진을 달은 밀차로 캠퍼스 4400피트 거리를 달리며 경주를 벌이는데 최고 시속이 35마일까지 달린다.
소형 엔진을 달은 전동 밀차를 갖고 각각 2명의 선수들이 번갈아 밀면서 경주를 시작하면 캠퍼스 곳곳에서 환호성이 터지며 열띤 응원전이 열린다. 일단 언덕을 올라갈 때 학생이 뛰면서 밀어 올리고 내리막 길에서는 밀차가 빠른 속도로 언덕을 내려간다.
이 밀차 대회는 1914년부터 시작된 학교 전통 행사다. 밀차 프로젝트는 미 자동차산업에 지대한 공을 끼쳤다.
도요타사가 매년 행사를 후원을 하고 있다. 카네기 멜론대 사이트에는 버기 대회에 대한 사이트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미 대학들 가운데 유일하게 스코틀랜드의 전통 악기인 백파이프 전공 학위를 수여한다.
카네기 멜론대 백파이프 전공자들은 축제기간 동안 기념 연주를 한다. 백파이프 단장은 세계 백파이프대회의 챔피언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특색있는 행사들이 다채롭게 펼쳐져 봄의 향연을 만끽할 수 있다.
카네기 멜론대의 입학 사정은 조기 전형과 일반 전형이 있다.
대학에서 입학 허가서를 주면서 다른 학교에 원서를 낼 수 없는 얼리 디시전(Early Decision)과 11학년의 우수한 학생들에게 이미 대학 입학 여부를 알려주는 얼리 액션(Early Action)도 가능하다.
카네기 멜론대는 5758명의 학부생과 4644명의 대학원.박사과정 학생들이 1426명의 교수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다.
2008년도 신입생 합격률은 28%였으며 2007년 원서 접수량은 2006년도 대비 18.5% 늘어난 2만2356명.
비즈니스 스쿨의 경우 지원자 가운데 겨우 13.9%에 해당되는 93명만이 입학 허가서를 받았다. 신입생 전체의 SAT 성적은 영어 657점.수학 728점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신입생들은 코넬 MIT 유펜대 등 복수 지원을 했으며 미시간 존스 합킨스 워싱턴대 등 복수 입학률이 가장 높다.
카네기 멜론대 학생들은 설립자 앤드루 카네기의 모토인 '성취하려는 마음가짐과 그에 따른 노력'을 따라 스코틀랜드의 전통과 배경 미래 컴퓨터 공학을 책임있게 끌어가는 미래 지향적 태도를 배우고 있다.
주소는 5000 Forbes Avenue Pittsburgh PA 15213이며 대표 전화는 412-268-2000.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