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등과 오른손바닥이 사진<1>처럼 목표를 향하는 '중립그립'으로 스윙을 하게되면 샷은 똑바로 날아가게 된다.
그것은 백스윙의 정점에서 사진<2>처럼 '왼손목'과 '클럽페이스'가 평행이 되는 것으로 확실하게 확인 된다. 그리고 '강한그립'을 하게되면 임팩트시 클럽페이스를 여는 복구동작을 하지 않는한 훅을 내게되고, '약한그립'을 하게되면, 그립을 다시해 클럽페이스를 닫지않는 한 슬라이스를 내게 된다.
더불어 그립의 압력에도 유의해야 한다. 만약 훅이 난다면 클럽을 좀더 꽉 잡아야 한다. 왜냐하면 꼭쥔 그립은 잉여의 손놀림을 제거하게 되어, 임팩트시 클럽페이스의 스퀘어링을 늦추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슬라이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클럽을 좀 더 가볍게 잡아 원활한 손동작으로, 임팩트시 클럽페이스를 스퀘어링 하는것도 나뿔것은 없다.
그러나 '강한그립'을 하고도 슬라이스를 내거나, 아니면 '약한그립'을 하고도 훅을 낸다면 그것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 반듯이 교정해야 한다. 원래 '강한그립'이란 벤 호건의 옛 비데오 테이프 에서 부터 유래된 것이다. 그가 휘두르는 클럽은 임팩트내내 왼쪽으로 빠져 나간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보고 왼쪽으로 스윙을 하다보니, 클럽이 볼을 지날때, 그들의 '오른쪽 어깨'가 볼위로 튀여 나간다. 이렇게 되면, 클럽이 몸뒤에 쳐지게 되면서 클럽페이스가 열린채 볼로 진입케 된다. 이것이 바로 훌륭한 선수들이 어느날 갑자기 볼을 오른쪽으로 높이 치게되는 이유가 된 것이다.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한그립'이 탄생 한 것이다.
이전 실수에 대한 부적절한 보상을 한 셈이다. 물론 클럽이 그들의 몸 앞에 유지 되면서 내려와, 왼쪽으로 스윙되길 원했을 것이다. 이 '강한그립'의 '유래'는 임팩트시에 빠른손을 구사 할수 없기 때문에 생겨난 부산물인 것이다. 이제 여러분이 필요한 것은 '빠른손'과 '빠른힙'의 배합이기 때문에 사진<3>과 같은 '중립그립'으로 클럽을 '온 플레인'에 유지 시켜야 한다.
그러나 '온 플레인'이 아닌 다른 스윙은 '중립그립'을 할 필요가 없다. 이곳의 "A to Z 스윙 레슨"은 행크와 장교수의 대표적 교수법이다. 수준에 따라 '1번 부터 26번' 까지의 교육을 잘 적용케 하는 것이다. 잘참고 견디면 누구나 휼륭한 선수가 될수가 있다.
타이거 우즈의 스승인 행크 헤인니와 장 석기 교수는 "온 플레인 스윙 이론"의 대가이며 "숏 게임"의 전문가이다. 장 교수는 행크의 제자로서 그의 어시스턴트 겸 총괄 헤드 프로인 '티칭 디렉터'로 활약하고 있다.
PGA-LPGA-AJGA을 위한 행크와 장 교수의 '온 플레인 골프 스윙'은 흔들림이 거의 없다. 더불어 '퍼팅-치핑-로우 피치-스탠더드 피치-하이 피치-벙커 플레이-트러블 슈터'같은 '숏 게임의 테크닉'을 예술의 경지까지 이끌어 준다. 단 인성교육과 예의범절을 제대로 갖춘 자를 선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