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새 대통령 취임 D-1] 취임 100일 행보, 4년 성패 가른다

Los Angeles

2009.01.18 19:1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100일' 행보에 세계가 주목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글로벌 금융 위기와 경기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오바마가 어느때보다 무거운 책임감을 안은 채 취임 100일을 보내게 됐다고 전했다.

뉴스위크에 따르면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 이후 역대 미국 대통령 대부분이 '100일'이란 용어를 매우 싫어했으며 오바마도 예외는 아니다.

존 F 케네디 전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그의 정책 목표가 100일내 이뤄질 수는 없다며 취임 100일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을 희석시키려 애썼다.

오바마와 그의 측근들도 100일이 아니라 최소한 1년 단위로 시간 범위를 넓혀 평가받기를 원한다는 의사를 내보였지만 현실은 그다지 녹록치 않아 취임 100일은 오바마의 재임 성적 전체를 좌우하게 지표가 될 전망이다.

의회 역사상 2009년은 대공황 직후인 1933년(루스벨트) 또는 1965년(린든 존슨) 1981년(로널드 레이건)에 비교될 만큼 격변기를 맞고 있다.

오바마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담은 법안은 프레지던트데이(2월16일) 이전에 양당의 지지 속에 의회를 통과할 것이 확실시된다.

뉴스위크는 작은 정부가 아닌 큰 정부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지만 별다른 대안이 없는 가운데 오바마의 경기 부양 정책이 제대로 기능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라고 지적했다.

연방 정부는 지난 5개월간 부실자산구제계획(TARP) 등에 따라 1조5천억 달러 이상의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 부었고 오바마는 수천억 달러의 경기 부양 자금을 준비 중이다. 문제는 오바마 자신도 경기 부양 자금을 어떻게 집행해야 할지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실 은행들이 얼마나 더 늘어날지 얼마나 돈이 더 들어갈지 알수 없는 상황이고 자동차 '빅3'는 미래가 여전히 불투명하다.

부실 모기지로 위기를 맞은 중산층이나 차세대 청정 에너지 개발 사업 부문 교육 지원 사업 등은 정부의 지원만을 기다리고 있을 뿐 아무런 보장 없이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뉴스위크는 "오바마가 높은 지지율을 받으며 출발하게 됐고 루스벨트가 취임 연설에서 수차례 강조했듯이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만큼 취임 100일의 성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전망했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