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동서 교차로] 죽어도 살아있는 나무

이기희/윈드화랑대표·작가

소금 먹은 사람이 물쓴다. 베풀면 넘치는 게 인생 묘법이다. 정승집 개가 죽으면 문전 성시를 이루지만 정승이 죽으면 아무도 안 온다는 말은 개만도 못한 정승 얘기다. 정승도 정승 나름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지만 산 자의 입을 통해 한 사람의 파란만장했던 생애가 펼쳐지게 된다. 장례식은 한 인간의 삶에 마침표를 찍는 모습을 증거하는 엄숙한 현장이다.

무얼하며 어떻게 살았는지 장황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 심은 만큼 거두고 뿌린 만큼 꽃 피고, 베푼 만큼 백합꽃 향기로 남는다. 영정 앞에 머리 조아리는 것은 이룩한 업적 때문이 아니다. 진지하게 살고자 노력했던 한 인간이 남긴 크고 작은 발자취에 대한 존경의 표시다. 작지만 진하게, 여리지만 깊숙하게, 자신보다 남을 위해 베푼 사람이 떠나는 길은 따뜻한 환송으로 넘쳐날 것이다.

‘내가 죽거든 사랑하는 사람이여/ 날 위해 슬픈 노랠 부르지 마오/ 내 머리맡에 장미도 심지 말고/ 그늘지는 사이프러스도 심지 마소서(중략) 원하신다면 날 기억 하시고 /아님 잊으셔도 좋습니다./

죽음이 갈라 놓는 이별의 단절과 망각을 노래한 영국 여류 시인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시다.

뜨지도 지지도 않는 황혼 속에서/ 어쩜 당신을 기억할런지/ 아님 영원히 잊을런지도 모릅니다란 대목에 이르면 죽음이 영원한 이별의 끝이라는 환상을 지울 수 없다.

서른 여섯의 꽃다운 생이 끝날 즈음 황진이는 ‘어우야담’에 “내 생전 화려한 것을 좋아했으니 죽은 후에는 산에다 묻지 말고 대로 변에 묻어 주세요.”라는 글을 남겼다. ‘숭양기구전’에는 “저는 천하의 남자를 사랑하기 위해 스스로 자애할 수 없으니 제가 죽거든 금수의 관도 쓰지 말고 옛 동문 밖 물가 모래밭에 시신을 내 버려서 개미와 땅강아지, 여우와 살쾡이가 내 살을 뜯어먹게 해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경계 삼도록 해 주세요.” 라고 기록된 걸 보면 일부종사하며 필부로 살지 못한 여인의 한맺힌 몸부림이 절절이 담겨있다.

후회없는 삶은 없다. 완전한 삶이 없기 때문이다. 뻐꾸기는 둥지를 틀지 않고 혼자 산다. 수컷은 암컷과 교접을 한 뒤 날아가버리고 암컷은 때까치나 지빠귀 등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다. 뻐꾹 뻐꾹 우는 뻐꾸기의 울음 소리가 구슬프게 들리는 건 둥지없이 떠도는 처량함 때문일 것이다.

남의 둥지에 버리고 온 어린 새끼들이 눈에 밟혀 목놓아 우는 회한의 눈물이 아닐까. 천국에서 다시 만난다해도, 극락 환생한다 해도 이 땅에서의 이별은 뻐꾸기 울음처럼 슬프다. 한 인간의 삶을 접는 순간에 애통해 하며 겸손해지지 않는 사람은 없다. 한 사람의 일생을 요약하긴 쉽지 않다. 어쩌면 죽은 후 자신에 대해 말할 수 있는지 모른다. 장례식에서 간추린 몇 줄이 생의 이력서라면 적지 못한 채 꽃향기로 남는 것이 묘비에 새길 문구일 것이다.

어머님이 돌아 가신 후 딸과 자주 여행을 하기로 약속했다. 추억의 나무 심기를 할 작정이다. 어머니는 살아 생전 내 삶 속에 크고 작은 나무들을 심어 주셨다. 가뭄과 거센 비비람에도 쓰러지지 않는 단단하고 늘 푸른 나무들이 자라 우람한 숲이 되었다. 이제 내가 그 나무를 옮겨 심을 차례다. 영원히 죽지 않는 나무 한 그루를 딸 애 가슴에 심어 줄 생각이다. 죽어도 영원히 살아있는, 별보다 더 빛나고 눈부신 사랑이란 이름의 나무 한 그루를.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