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의 기대수명이 다른 고소득 국가와 달리 오히려 더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버지니아 커먼웰스대 사회건강센터 연구팀은 26일 의사협회 저널(JAMA)에 게재된 '미국인들의 기대 수명과 사망률, 1959~2017'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인의 기대수명이 2014년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소폭 감소해 2017년 78.6세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인의 기대 수명은 1959년 69.9세에서 2014년 78.9세로 꾸준히 증가했다. 45년 만에 기대수명이 10살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2014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기대수명이란 갓 태어난 아이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연수를 말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UC버클리에서 마련한 미국 사망자 수 데이터베이스(USMDB)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연구팀을 이끈 스티븐 울프 교수는 보고서에서 약물 과다복용, 자살, 비만 등의 특정 원인에 의한 25~64세 성인 사망률이 1990년대 말부터 급격히 증가한 것이 기대수명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이 나이대 성인들의 사망률은 1999~2017년 사이 386.5%나 증가했으며, 비만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114% 올라갔다. 만성적 간 질환과 간경변증 등 알코올 관련 질병으로 인한 이들의 사망률도 40.6% 증가했다. 자살률도 38.3% 높아졌다.
의사협회 저널에 해당 보고서를 해석하는 기사를 쓴 하워드 고 하버드대 보건대학교 교수는 "의학적 질병뿐 아니라 소득 불평등과 정신적 고통 등 사회적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하면서 "건강을 중요시하는 문화를 만드는 데 의료계뿐 아니라 경제계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