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동그라미 너머의 동그라미

껍데기에 매달리지 말고 진리의 본질에 다가서야

#풍경1 : 오랫동안 수행의 길을 떠났던 젊은 스님이 돌아왔습니다. 그는 장경(章敬)선사를 찾아가 인사를 올렸습니다. 장경 선사가 물었죠.

"이곳을 떠난 지 얼마나 되었느냐." "8년쯤 지났습니다." 이 말을 들은 장경 선사가 '제자의 공부'를 물었죠. "그래 그동안 자네는 무엇을 얻었는가." 그러자 젊은 스님은 꼬챙이를 하나 집었습니다. 그리고 몸을 구부려 땅에다 커다란 동그라미를 하나 그렸습니다.

이 모습을 쭉 지켜보던 장경 선사가 다시 물었죠. "그래 그것뿐인가. 다른 것은 또 없는가." 그러자 젊은 스님은 발로 동그라미를 '쓱싹쓱싹' 지워버렸습니다. 그리고 몸을 돌려 절을 나가버렸습니다. 뒤도 돌아보지 않고 말입니다.

#풍경2 : 원불교 교당에는 '불상(佛像)'이 없습니다. 대신 교당의 벽에는 큼지막한 '동그라미'가 하나 걸려 있습니다. 그게 바로 '일원상(一圓相)'이죠. 그럼 '부처' 대신 '동그라미'를 모시냐고요? 아닙니다.

'동그라미'는 그냥 '동그라미'일 뿐이죠. 그 너머를 향하는 것입니다. 왜냐고요? 진리의 '형상'을 붙들지 말고 진리의 '본질'에 들라는 소태산 대종사(少太山 大宗師.1891~1943.원불교 교조)의 가르침 때문이죠.

2500년 전의 석가모니 부처님이 다시 왔다면 어떨까요. 그에게 "'부처의 자리'를 그려 주십시오"라고 부탁한다면 어찌하셨을까요. 아마도 커다란 '동그라미'를 그리지 않았을까요. 왜냐고요? 이 무한한 우주를 몽땅 담을 수 있는 도형이 달리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진리를 뜻하는 '동그라미'는 그냥 동그라미가 아니죠. 여기에는 테두리가 없습니다. 시간적 테두리도 없고 공간적 테두리도 없습니다. '과거-현재-미래'라는 시간의 흐름도 없고 '이곳-저곳'이란 공간의 나뉨도 없죠. 그럼 무엇이 있을까요. 테두리조차 없는 동그라미 그 하나만 온 우주에 꽉 차있을 뿐입니다.

그럼 그냥 차 있기만 할까요. 아닙니다. 끊임없이 숨을 쉬고 움직이고 변화하며 차 있죠. 살아 있으니까요. 책상에 앉아 이 글을 쓰고 있는 저와 이튿날 거실 소파에 앉아 이 글을 읽고 있을 여러분도 그 '하나의 동그라미' 안에 녹아 있는 거죠.

젊은 스님이 그린 '동그라미'도 이런 의미가 아닐까요. 장경 선사가 "그뿐이냐 달리 무엇은 없느냐"라고 되묻자 젊은 스님은 동그라미를 지워 버렸죠. 실은 그 순간 '진짜 동그라미'가 드러난 겁니다. 살아 숨 쉬는 '부처'가 드러난 거죠. 그게 어디냐고요? 동그라미를 지운 곳에 '남은 곳'이죠. 바로 눈 앞에 펼쳐진 이 세상 전부입니다.

그럼 또 물으시겠죠. "동그라미를 넘지 않아도 이 세상이 있고 동그라미를 넘어도 이 세상이 있다면 왜 힘들게 그걸 넘느냐"고 말이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동그라미 이쪽의 삶에는 '고통'이 있지만 동그라미 너머의 삶에는 '자유'가 있기 때문이죠. 이쪽에선 '나'와 '동그라미'의 간격이 있지만 저쪽에선 '나=동그라미'가 되니까요. 그때 '나'는 어디에 있을까요.

바람이 되고 꽃이 되고 온 들판의 푸름이 되겠죠. 그래서 원불교의 '일원상'도 붙들면 안되겠죠. 놓아야겠죠. 그래야 동그라미 너머의 '동그라미'를 만나겠죠.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