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소비자 파산 신청 ‘빨간불’
작년 13만7천여건 역대 두번째 최다 기록 --- 상당수 빚감당 어려움

특히 작년 4분기(10~12월) 기간에만 3만5천1백55건으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특히 2018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2%나 증가했으며 역대분기별로 역대 최다기록을 세운 2009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약 5천여건이 적었다.
이와관련, 캐나다파산관리전문가협회(CAIRP) 관계자는 “가계 부채 수위를 감안할때 예상했던 현상”이라며”앞으로 금리가 다시 오르면 상황을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상당수의 소비자들이 빚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있다”며 “수입이 불안정한 자영업자들이 늘어나는 것도 한 요인이지만 금리 인상 여파가 주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연방중앙은행은 2018년 10월 이후 기준금리를 1.75%로 동결했으나 이에 앞서 2017년7월부터 2018년 10월 초까지 잇따라 인상을 단행해 이 기간 기준금리가 1.25%나 뛰어 올랐다.
CAIRP 관계자는 “금리 인상의 여파는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난다”며”소비자들이 피부를 느낄때 까지 최소 1년정도 걸린다”고 설명했다. 최근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주민 절반이 매주 임금 수표에 의존해 생계를 꾸려가고 있어 임금이 한 주일이라도 늦어지면 재정적인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웨스턴대학 경영대학의 미치 스타인 교수는 “온라인으로 음식을 주문하고나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인터넷 시대도 빚을 부채질 하고 있다”며”지출 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