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까지 매각…소송 현실적으로 어려워
'포에버21 매각' 긴급 좌담회

오른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김병일 부장, 제이 김 샌페드로홀세일마트 사무국장, 스캇 이 변호사, 안유회 경제부장. 왼쪽의 피해업체 대표들은 사업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익명을 요청했다. 김상진 기자
![한인 부부가 설립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던 포에버 21이 지난 2월 새 주인 손에 넘어갔다. 뉴욕 맨해튼 타임스 스퀘어에 있는 포에버21 매장의 야경. [포에버21 웹사이트 캡처]](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originals/2021/11/14/152726157.jpg)
한인 부부가 설립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던 포에버 21이 지난 2월 새 주인 손에 넘어갔다. 뉴욕 맨해튼 타임스 스퀘어에 있는 포에버21 매장의 야경. [포에버21 웹사이트 캡처]
참석자
스캇 이(파산 전문 변호사)
제이 김(샌페드로홀세일마트 사무국장)
포에버21 거래업체 A 대표
포에버21 거래업체 B 대표
진행:안유회 경제부장
정리:김병일·홍희정 기자
▶안유회 경제부장(이하 안)= 좌담회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에버 21의 파산과 매각으로 자바가 혼란스러운데 우선 한인업체의 피해액은 어느 정도로 볼 수 있을까요.
▶포에버 21 거래업체 A 대표(이하 A)= 메인 벤더까지 다 넣으면 2000만, 3000만 달러까지 됩니다. 영세업자들은 1000만 달러까지 보면 됩니다. 2000만까지도.
▶안= 피해액이 공식 집계될 가능성은 거의 없겠죠. 앞으로 대응은 어떻게 할 생각이신가요.
▶A= 큰 벤더들은 안 할 거예요. 포에버 21이랑 여전히 관계가 있어서 안 움직일 확률이 아주 높고. 움직인다면 저희처럼 작은 벤더들이 모여서 움직일건데, 변호사측에 물어보면 명쾌한 답이 없어요.
▶스캇 이 변호사(이하 이)= 최근에 채권자들 커뮤니티, 메인 업체들을 변호했어요. 한국 업체들, 중국과 홍콩 벤더들을 30명가량 변호한 거죠. 안타까웠던 게 뭐냐면 LA에 있는 분들께는 정보가 제대로 전달이 안 된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포에버 21이 팔리면서 기업 대 기업이 소송할 수 있는 건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을 비롯한 컨소시엄에 팔렸어요. 남은 건 사기밖에 없는데, 대부분 권리가 팔렸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겁니다. 두 번째는 그분들(포에버21 경영진)이 어떤 액션을 취했든 회사 살리기 위해서 했다고 할 겁니다. 거기에 대응할 수 있는 증거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구체적으로 어떤 문서가 있는지, 문서 자체가 합법적인 건지, 돈을 못받았다는 증거가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안= 증거는 사기를 증명하려는 것을 의미하죠?
▶이= 예를 들어, 당시는 돈을 주려는 마음은 있었지만 능력이 안 돼 돈을 못 주면 사기는 아닙니다. 또 비즈니스에 관해서 CEO(최고경영자)나 기업인이 활동할 때는 회사를 살려야 하기 때문에 법이 어느 정도 그 사람 행동을 보호합니다. 이런 것에 대해 잘 아셔야 하고 무슨 권리를 갖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사이먼 프로퍼티는 프로퍼티 랜드로드로는 전국에서 넘버원입니다. 쇼핑몰을 제일 많이 갖고 있어요. 챕터 11이 발생하는 곳에 다 나타나는 회사입니다. 에어로포스테일이 매각된 것도 같은 방식이었습니다.
▶안= 사이먼 프로퍼티가 에어로포스테일을 인수한 뒤 한 행동을 알면 앞으로 포에버 21에 할 행동도 알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이= 앞으로 행동은 확실히 알 순 없죠. 그런데 소매 시장이 안 좋은 건 사실입니다. 포에버 21은 지금 한인 회사라 주목을 받는 거지 (소매 시장이 안 좋은) 트렌드 자체는 옛날부터 시작된 겁니다.
▶안= 사이먼 프로퍼티가 지난번 에어로포스테일 때도 방금 말씀하신 트렌드대로 매장 수를 줄인다든지 하는 방향으로 갔나요. 포에버 21은 매장을 줄이지 않겠다는 얘기들도 나오던데.
▶이= 매장이 안 줄어들 순 없을 겁니다.
▶포에버 21 거래업체 B 대표(이하 B)= 현재 소송이 진행 중인가요?
▶이= 소송은 없어요. 파산되기 전에 소송하는 것은 클레임으로 봐요. 파산 이후 소송은 다른 문제예요.
▶B= 파산 이전에 클레임 걸어놨고 그 이후는 어디에 클레임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에요.
▶이= 클레임 마감 날짜가 1월 20일이었습니다. 파산하기 전에 있었던 마감 날짜입니다. 그 이후의 클레임은 마감날짜가 곧 나올 겁니다. 그 클레임을 잘 해야 합니다. 클레임은 많지 않을 것으로로 예상합니다. 또 오너십 그룹이 막강한 로펌을 썼어요. 코비 브라이언트 부인이 의뢰한 로펌입니다. 신중하게 다음 스텝을 생각해야 합니다.
▶B= 사이먼을 소송하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 그렇게 할 수가 없죠. (사이먼 프로퍼티 측은 포에버 21의) 알맹이만 남기고 껍데기는 버렸다는 거죠.
▶B= 우리는 (사이먼 측과) 거래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고.
▶A= 저희가 포에버 21과 일할 때 편지를 두 번 받았어요. 파산한다는 것과 (대금을) 30%는 미리 주고 70%는 나중에 주겠다는 것이었는데 그걸 어긴 겁니다.
▶이= 이게 사기는 아니고 상황이 있어요. 포에버 21도 은행에 빚이 있었어요. 채권이죠. 결국 약속을 실행 못한것은 돈이 없어서고 사기라고 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스캇 이 변호사
"소매점 파산 트렌드 오래전부터 시작된 것 팩토링 사용 고려해야"
제이 김 사무총장"
경영 바뀐 건 좋다 의류 살아남으려면 밀레니얼에 맞춰야"
▶안= 법적인 부분은 냉철히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법 쪽은 쉽지 않습니다. 사이먼도 (인수를) 원한 게 아니었어요. 그들도 뭔가 묶여있어서 마지막 순간에 어쩔 수 없이 산 거죠. 중요한 건, 껍데기는 빼놓고 알맹이만 샀다는 거죠. 모든 걸 팔아서 은행 빚만 갚는 건데, 어떻게 이런 상황에서 판사들이 허락했느냐는 말도 있습니다. 판사들이 봤을 때 직원들이 다 해고되는 것보다 낫다고 봤을 겁니다. 저는 채권자가 아니라 쉽게 말하는 것이겠지만 우선 (상황을) 100% 이해해야 합니다. 소송하는 것도 이해하지만 모든 걸 봤을 때 쉽지 않습니다.
▶안= 그럼 법률적인 범위를 벗어나서 대처할 방법이 있을까요.
▶샌페드로 홀세일 마트 제이 김 사무국장(이하 김)= 굉장히 어려운 질문이네요.
▶이= 힘든 질문이고요. 포에버 21과 오래 일하신 분들은 선택이 없었어요. 밑져도 해야 해요. 그래서 피해가 더 컸어요. 포에버 21에 매출의 80~90%를 올인한 업체들도 있습니다.
▶안= 포에버 21이 자바시장 물량을 크게 키워놓은 부분이 있는데, 최근에는 의식적으로 포에버 21 비중을 줄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A= 처음에 포에버 21이 오픈했을 땐 굉장히 많이 의지했어요. 그러다 포에버 21의 자체 매장이 커지면서 해외 벤더를 써서 가격을 싸게 하고 높은 품질을 요구하다 보니까 미국쪽 비율은 15~20%밖에 안 됐다. 그만큼 해외 비중이 훨씬 큽니다. 사실 지금 포에버 21과 거래했던 곳은 큰 업체가 아니에요. 큰 업체들은 이미 거래를 안합니다. 자바시장이 1세에서 2세로 넘어가며 싫어진 거죠.
▶안= 자바 전체로 볼 때 매각으로 인한 피해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나요.
▶A= 큰 업체들은 얘기를 안해요. 어차피 못 받을 거 아니까.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5~10%밖에 안 되고. 우리는 90% 이상이 포에버 21에 묶여 있다보니 피해를 벌충할 수 있는 고객이 없어요.
▶이= 포에버 21이 어떻게 된다는 얘기는 오래전부터 나왔어요. 미국에선 메이시스가 되든 뭐든 소매업은 계속 힘들 거예요.
▶안= 매각된 게 나쁜 것일까요.
▶김= 매니지먼트가 바뀐 건 좋은 것 같아요. 사이먼 프로퍼티가 자바에서 물건 구매를 다시 할지, 중국 등에서 더 싸게 가져올지 모르겠어요. 다시 자바 물건을 구매하면 좋을텐데, 그게 걱정입니다. 사장님들이 물건 팔 데가 없다고 하는데 그게 제일 걱정돼요. 주류 회사들이 포에버 21 직원을 데려가서 납품 받고 대금을 주는 방식을 포에버 21을 따라하고 있다고 해요. 그게 더 걱정이라고 하시더라고요.
시대 흐름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 고민해야
포에버21 거래업체 A대표
"전세계서 벤더 신청 물량 줄인다 소문에도 벌써 다 움직이고 있다"
포에버21 거래업체 B대표
"파산 전 클레임 했지만 소송하겠다는 것보다 사이먼과 거래하고 싶다"
▶안= 컨소시엄은 전문 경영인을 영입할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이후 자바와 관계는 어떻게 전망하시는지.
▶A= 물량을 25% 줄인다는 얘기가 있고요. 전 세계에서 벤더 등록을 하려고 신청하고 있어요. 한국 쪽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벌써 다 움직이고 있어요. 저도 사이먼이랑 일하고 싶고요.
▶안= 새 경영진이 들어오면 긍정적으로 볼만한 부분은 없는지.
▶김= 아직까지는 아무것도 없지 않나요. 포에버 21이 자바에서 물건 구입하는 게 예전보단 많이 줄었다고 하더라고요. 사이먼이 더 줄일 수도 있습니다.
▶안= 물건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보는 것은 왜 그런가요.
▶김= 매장 몇백 개를 작은 업체들에서 납품하기는 쉽지 않으니. 더 싼 것들 원하고 퀄리티도 좋아야 하니 큰 회사를 선호하는 것 같아요. 저의 바람은 새 경영진이 들어온 포에버 21과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에요. 큰 회사 하나가 그래도 살아 있다는 게 다행이지 않습니까.
▶A= 우리 쪽에서 보면 작은 희망입니다.
▶김= 자바를 보면 테넌트 찾기도 힘들어요. 새로 오픈하신 분들은 몇 년 동안 한 곳도 없고. 바이어들도 줄어들고. 은행 융자도 힘들어지고.
▶안= 새 경영진이 들어오면 자바와 관계는 어떻게 기대하세요.
▶이= 시간이 지나야 할 것 같아요. 좋은 점인진 모르겠지만, 미국 회사와 거래하시는 게 더 쉬울 수도 있어요. 학연이나 지연이 없고. 옛날에 혜택을 받은 분들은 이젠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A= 벤더마다 판단이 다를 거에요. 물건을 잘 만들 능력이 있다면 달라붙겠죠. 그렇지 않으면 포에버 21보다 더 심하게 할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벤더마다 자신있게 들어가서 할 수 있으면 하는 거죠. 사이먼에서 파이낸스 등 여러 가지 항목을 이미 다 보냈어요. 안 되면 오지 말라는 거죠.
▶안= 포에버 21의 기존 벤더에 다 보낸 건가요.
▶A= 아닙니다. 선정된 업체에만 보냈어요. 그 업체가 3월 중순에 한국에서, 중국에서 옵니다. 우리도 포에버 21이란 소매체인을 좋아해요. 물량이 크고 돈이 되고 좋은 게 많아요.
▶안= 다른 두 분도 새 주인이 포에버 21을 맡으면 자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김= 그렇게 크게 도움될 것 같진 않아요. 포에버 21 같은 곳이 4~5개 정도 있으면 모르겠지만 지금 하나 갖고는…. 물론 향후 몇년간은 서로 결제 부분에선 명확할 테니까 더 안정적일 수 있죠.
▶이= 업계에서 걱정하는 건 한 번 챕터 11 들어간 회사들이 또 들어가는 경우예요. 챕터 11을 두 번 부르는 경우를 말하는 겁니다. 중요한 건 다양성이 필요해요. 한 군데만 있지 말고 새 시장을 찾는 게 제일 안전하고 좋을 것 같습니다. 가능하다면 팩토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인들은 마진 때문에 안쓰는 분들이 많은데, 이번 사태는 어쩔 수 없었지만 앞으로는 프로텍션 받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 이번 일이 자바에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라 보시는지.
▶김= 맨 처음에는 수근거리고 그랬는데, 지금은 만성이 된 것 같아요. 난리가 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조용해요. 이럴 줄 알았다는 분위기죠. 왜 이렇게 조용하냐 했더니, 계속 (물량을) 뺐고 결과도 뻔히 아니까. 방법이 없는걸 아니까. 자포자기라 해야 할까. 어떤 분은 포에버 21의 물량을 50%에서 15%로 줄여놓은 것이 다행이라고 해요.
▶이= 파산을 통해서 많은 분들이 법을 배운 것 같아요. 대형 챕터 11에서는 채권자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방어할 수 있는 커뮤니티입니다. 안타깝게도 한인들이 잘 참여안하는 게 귀찮아하세요. 중요한 게 뭐냐면, 커뮤니티는 투표로 움직여요. 한국분들이 권리 가지고 있는 탑 10~20에 들어있는데 참여 안하는 경우가 있어요. 참여해서 권리를 따지면서 배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사람들은 변호사 없어도 어느 정도 법을 잘 알아요.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도. 그런데 한인들은 아직 잘 몰라요. 이런 일 겪으면서 하나둘 배우는 거죠.
▶안= 포에버 21 정도의 규모는 아닐지라도 한인 소매 체인점이 다시 크게 성장하는 일이 또 있을까요.
▶A= 1세들은 구멍가게로 시작했어요. 옷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런데 2세로 넘어가면 쉽지 않습니다. 2세는 한국사람이 아니어서 한인과 비즈니스 하는 걸 싫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계가 있습니다.
▶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나오면 몰라도. 이번 파산도 끝에 가선 구제해 주겠지 하며 희망을 끝까지 가지고 계셨던 분들이 많았습니다. 나만의 아이디어를 믿어야지 사람을 믿는 건 좋은 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A= 아마존이 의류 렌트업을 시작했어요. 옷을 여러 벌 받은 뒤 필요한 것만 사고 나머지는 반환해요. 대신 옷값이 두 배 비싸요. 그런 컨셉이 옷 시장에 나오기 시작하면 정말 어떻게 될지 모르겠어요. 쉽지 않을 거예요.
▶이= 소매점이 없어지는 이유가 바로 그거예요. 뉴욕에서 보내고 LA에서 받았는데 거래가 없어요. 한 벌을 사야 거래가 생겨요. 아마존은 시스템 자체를 비싸게 해놓았기 때문에 문턱이 너무 높아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사이먼과 가까이 지내면서 거리를 두지 말고 어프로치 해야 합니다. 소매점이 망하고 나면 사이먼도 쉽지 않습니다. 그 사람들도 그걸 압니다.
▶김= 포에버 21 같은 회사는 다시 나오기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우리 때는 옷 사고 옷 자랑하고 옷이 부의 상징이고 이런 게 있었는데 지금은 전혀 그런 게 없습니다. 7~8년 전부터 밀레니얼 세대는 자기 아이덴티티를 보여줄 수 있는 옷들을 좋아하지, 평범한 거는 요가복이나 속옷 빼곤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살아 남으려면 많은 스터디와 생각을 하면서 밀레니얼 세대에 맞춰 가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제이미슨도 아파트를 건축할 때 안에 오피스를 만듭니다. 자택 근무할 수 있게 하는 겁니다. 이런 경향에 맞춰 미리 공부를 하고 10년, 20년 후에 맞게 건축하는 겁니다. 우리도 그런 공부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 긴 시간 솔직한 이야기와 전문적인 지식, 오랜 경험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에버 21의 역사
1984 장도원·장진숙 부부가 FASHION 21 오픈
1989 포에버 21로 브랜드 이름 변경
2001 메가스토어 탄생 및 글로벌 패션업체로 도약
2003 온라인 시장 진출
2015 매출 40억 달러 돌파, 미국매장 500개 육박. 전 세계 700개 이상 매장. 총 매출 44억 달러
2016 장 회장 부부 순자산 47억 6000만 달러로 남가주 부호 10위 안에 포함
2019 챕터 11 신청, 9월 말 법원에 파산보호신청서 제출
2020 사이먼 프로퍼티를 포함한 3개 기업 컨소시엄에 8100만 달러에 매각
김병일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