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의 도박, 월남파병-9] '돈벌러 가자' 월남으로 월남으로
당시 군수품 수송업체 한진 길열어
'님은 먼 곳에' LP판 현지에서 불티
기업이나 개인이나 사주팔자가 있다고는 하지만 한진은 당시 인천에서 서울로 또는 의정부나 동두천으로 미군 군수품을 수송하는 업체였다.
그러나 민간 기업으로서 월남전에 뛰어들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했다면 아무리 선두업체였다 해도 일반 무역회사나 수송업체에 머물렀을지 모른다.
그런 점에서 월남전과 참전 한국군이 한진에는 은인인 셈이다. 편의상 오늘날의 한진그룹을 '한진'이라 칭하고 있지만 애초 한진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월 '한진상사'라는 이름으로 창업했고 무역을 주업으로 했다.
그러나 곧 무역업은 부업이나 다름없게 됐다.
창업주 조중훈 사장의 눈에 해방 후 모든 물자가 인천항으로 들어와 어디론가 수송되는 것이 보이는 순간 운송업이 사업적으로 실익이 크겠다는 것을 간파하고 트럭 한 대를 구입해 물자수송에 나섰다.
이것이 본업으로 발전한 '한진그룹'의 시작이었다. 한진의 성장엔진을 가동한 인물은 단연 조중훈 전 회장과 조중건 전 부회장(당시 상무) 형제였지만 특히 조중건 상무(편의상 월남전 시점의 직책으로 한다)의 활약은 타고난 친화력과 미군 인맥을 통해 나타났다.
물론 형이 닦아 놓은 주한 미 8군 인맥도 상당했지만 조 상무의 한국군 통역장교 시절 맺었던 인맥과 미 장성들은 무시 못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조 상무는 미국 버클리대학 출신이다. 정재문 전 국회의원이 버클리대학 출신으로 한국 총동문회 회장을 지내면서 한때 한국 사회에서 버클리 영향력이 제법 힘을 과시했다.
버클리대학은 미국에서도 높게 평가하는 최상위급 명문 대학이다. 에피소드지만 부근의 유명한 사립 A대학과 비교해서 말할 때 A대학은 엄청난 학비를 내야 하기 때문에 '부모보다 못난 자식'이 다니고 버클리대학은 '부모보다 잘난 자식'이 다닌다는 말도 있었다.
일본을 때린 원자탄도 버클리대학에서 만들어졌지만 인터넷을 최초로 개발하는 등 세상을 바꾸어 놓는 대학으로도 유명해 미국에서도 수재들이 모이는 곳이다.
그런 명문대 출신인 조 상무는 졸업 후 모교에 500만 달러를 기부해 '찰리 조' 강의실이 별도로 만들어졌을 정도로 명사가 됐고 군부에도 폭넓은 인맥이 있었을 것임은 짐작할 수 있는 일이었다.
물론 월남에서 한진이 수송으로 부를 축적하기까지 한진만의 노력으로 모든 것을 이루었다는 것은 아니다.
월남전을 경제성장의 디딤돌로 활용해야 한다는 정부의 절실하고 확고한 정책이 뒷받침되면서 한국군 사령부의 지원과 정부의 인력수출에 따른 지원 등 민간 기업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제도적 혜택까지 적지 않게 받은 것이다.
거기에 미군의 협조도 컸던 것이 사실이다. 한진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을 심어 놓은 점도 없지는 않았다.
당시로서는 근로조건에 관한 기본적인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던 탓이겠지만 부를 축적해 가는 과정에서 근로자들 처우 문제가 불거져 월남 현지에서 스트라이크가 발생했고 귀국 후에는 KAL빌딩 방화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국무총리가 기자회견까지 열어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는 사과를 해야 했다. 그렇더라도 한진이 최초로 민간 수송부대처럼 대규모 근로자들을 파월시켰다는 것은 정부나 기업으로서나 가슴 벅찬 일이었다.
민간 근로자들이 대거 월남으로 간다는 것은 월남의 인력시장을 연다는 의미가 컸고 군인이 파병되는 것과는 달리 부수적으로 챙기게 되는 경제적 실리가 상당했다.
군인에게는 정해진 전투수당과 일정한 군수용품이 투입되는 반면 한진이 시장을 열면서부터 여행 알선부터 세탁업자들까지 진출이 가능해진 것이다.
한마디로 뭐든지 '외화벌이'가 가능했다는 얘기였다. 물론 한진은 파병이 끝날 때까지 5년여 동안 수송과 하역만으로 1억3000만 달러가 넘는 막대한 수입을 올렸다.
한국은행이 발간한 1967년도 '경제통계연보'에 따르면 64년에 한국의 월남수출이 630만 달러였다.
그러던 것이 비전투부대와 전투부대가 점차 증파되면서 65년과 66년에는 1470만 달러와 1380만 달러로 각각 늘어났다.
전경련이 발간한 68년도 '한국경제연감'에 따르면 민간 수송업자들이 진출을 본격화하는 67년 한 해에만 운수와 하역 세탁업과 전기수리공 등 용역수입이 자그마치 3268만5000달러에 이른다.
허벅지가 늘씬하게 드러나는 베트남 전통복장을 입고 위문공연을 떠난 연예인들 수입과 사진사 초상화 화가들 수입까지 보태지면 더 많은 달러가 부수적으로 들어왔을 것이다. 당시 저작권 문제는 없었지만 동양TV 연속극 주제가 '님은 먼 곳에'는 70년 이후부터 월남의 애창곡이 되면서 LP판이 불티나게 팔리기도 했다.〈계속>
이호/객원기자·작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