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한 대규모 경기부양책 덕에 취약계층의 생계 타격이 과거보다 작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시카고대·노털데임대 연구진에 따르면 최근 실업률이 10여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를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했지만, 빈곤 수준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6일 보도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가 한창 확산하던 지난 4월과 5월에도 빈곤율이 다소 떨어졌으며 팬데믹 이전부터 이어져 온 빈곤율 감소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팬데믹 이후 ‘종종’ 또는 ‘흔히' 식량 여분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한 미국인의 비율이 2%나 증가하는 등 경기침체의 악영향이 뚜렷하지만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빈곤의 양상은 달라졌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연방정부의 수퍼부양책이 빈곤율을 떨어뜨리는 데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주로 경기침체 때 가계소득이 줄어 빈곤율 악화로 이어지지만, 이번에는 정부 부양책에 힘입어 가처분소득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실업급여 외에 지급되는 실직 수당 등으로 인해 올해 가계 가처분소득이 약 4%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빈곤율을 높이는 주요 요소인 실업률도 점차 떨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