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소수계 소유 기업 어려움 심각하다
뉴욕시 감사원 조사 보고서 발표
조사대상 85% “6개월 내 폐업할 수도”
95%는 코로나19 구제조치 혜택 못 받아
뉴욕시 감사원은 10일 코로나19 사태에서 뉴욕시 여성·소수계 소유 기업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자료는 500개 이상의 W/MBE를 직접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이들 여성·소수계 소유 기업의 85%는 향후 6개월 내로 폐업할 수 있을 정도로 상황이 어렵다고 답변했다. 또 30%는 향후 3개월 내 폐업할 정도로 어려움이 더하다.
코로나19 기간 중 가장 부담스러운 지출로, 조사에 참여한 기업중 50%는 급여를, 40%는 임대료를 꼽았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들 W/MBE 중 대부분이 연방이나 시정부의 지원이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헀다는 것이다. 조사대상 기업의 95%는 아무런 구제 대책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500개 이상 중에서 단 40개 회사만이 뉴욕시 비즈니스연속성대출(the New York City Business Continuity Loan)을 신청했다. 이중 단 6개 회사만 실제 대출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48개 회사가 뉴욕시 직원유지보조금(the New York Employee Retention Grant)을 신청했는데 이중 15개 회사만 승인을 받았다.
조사대상중 25%는 연방·시 지원프로그램에 전혀 신청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로 “제한이 많아서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다”고 답변했다. 20%는 신청했지만 부적격으로 거절됐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은 ▶시 발주 프로젝트에 접근성 강화 ▶PPE와 코로나19 진단검사 지원 ▶보조금 지급과 대출 승인에 유연성 강화 ▶재개를 위한 마케팅과 프로모션 지원 ▶시의 일대일 지원 인력 배정 등을 요청했다.
스콧 스트링어 시 감사원장은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서 “시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성·소수계 소유 기업들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면서 “이들이 고사하기 전에 구조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즉각적인 구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구체적인 대책으로 ▶여성·소수계 기업의 입장을 대변할 뉴욕시 최고다양성책임자(a Chief Diversity Officer) 임명 ▶시 발주 프로젝트의 최소 30%를 여성·소수계 소유 기업에 할당 ▶시 발주 프로젝트 신청·계약 과정에 투명성 강화 등을 제시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