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장수브랜드-7] 아가방, '아기 머리가 안 들어가네'
한국 아기 체형부터 연구
당시 만 세 살과 두 살이었던 딸들에게 옷을 사주려면 재래시장을 뒤져야 했다. 1년 뒤 태어난 셋째 딸의 배냇저고리는 원단 가게에서 천을 떼다가 직접 만들어 줘야 했다.
이불과 요 역시 침구 매장과 재래 시장에서 따로따로 구입하는 수고를 거쳐야 했다. 젖병은 약국에서 파는 수입 젖병이 아니면 정식 수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 들어온 젖병을 구해다 써야 했다.
김 회장은 이런 현실이 오히려 사업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아기용품 개발에 나섰다. 브랜드 이름은 창업 주역들이 머리를 맞대고 의논한 결과 '아가방'으로 짓기로 했다. 순 한글로 기억하기 쉬운 데다 아가의 모든 것을 취급하는 매장이라는 의미가 잘 전달된다며 다들 무릎을 쳤다.
하지만 아기용품의 종류가 워낙 다양한 데다 한국 기술로는 개발할 수 없어 일단 유명 수입 업체인 이탈리아 치코와 수입 계약을 한 뒤 79년 4월 아가방을 선보였다. 그러고는 하나 둘씩 치코의 제품을 벤치마킹해 한국화에 나섰다.
한국 아이들의 체형에 맞추는게 시급했다. 한국 아기들은 서양 아기에 비해 머리가 더 컸고 팔다리도 더 통통했다. 월령이 적은 아기 옷은 전체 사이즈에 비해 머리 사이즈는 커야 한다는 사실조차 잘 파악되지 않았다.
30년 전 직원들은 자녀와 조카 등을 총동원 가봉 과정 등을 통해 한국 아이 체형에 맞는 사이즈를 정해나갔다.
다음 난관은 제품 종류가 워낙 다양해 하청업체를 찾는 일. 양말 공장과 모자 공장 단추.지퍼 등 부자재 전문 소싱 업체들을 따로 수소문했다. 이렇게 조금씩 한국화를 시작해 수입하던 의류와 젖병의 한국화를 82년에 마쳤다.
최지영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