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과학 이야기] "비에 젖기 싫어" 꽃 형태 진화

이 세상의 꽃들이 그처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한 배경에는 꽃가루가 비에 젖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 큰 몫을 차지한다는 최신 연구가 나왔다고 BBC 뉴스가 보도했다.

중국 우한(武漢)대학 과학자들은 80종의 꽃 형태와 구조를 분석한 결과 꽃가루가 비에 젖는 것을 막기 위해 지금과 같은 형태로 진화했으며 그렇지 않은 꽃들은 꽃가루가 방수 기능을 갖도록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뉴 파이톨로지스트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는 비가 많은 지역의 꽃들이 어째서 대개 밑으로 늘어지거나 꽃잎을 닫는 구조인지를 설명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찰스 다윈을 비롯한 많은 학자들은 꽃들이 비를 맞아 꽃가루가 씻겨나가거나 꿀꽃이 묽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특정한 성질이나 구조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측해 왔지만 이런 가설을 실험으로 입증하지는 못했다.

연구진은 대학 캠퍼스 주위와 우한식물원에서 자라는 꽃 80종이 비와 물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하고 각각의 꽃가루들이 물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생육 능력을 유지하는지를 조사한 결과 강우량과 꽃의 형태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80종의 꽃 가운데 20종은 비가 와도 꽃가루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었으며 이런 꽃들은 방수 기능이 있는 꽃가루를 만들어 내지 않았다.

이런 꽃들은 비가 오면 꽃의 방향을 바꾸거나 화관을 닫아 버리는데 튤립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꽃송이를 밑으로 숙이는 꽃도 있고 천남성과 식물처럼 꽃받침에 물을 바로 털어 버리는 물받이가 있는 꽃도 있다.

그러나 44종의 꽃은 비가 오면 꽃가루가 그대로 물에 노출되는데 이 가운데 13종은 방수 능력이 뛰어난 꽃가루를 갖고 있어 비에 다른 방법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