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스탠톤부속편강한방병원] <1> 아토피란?

피부클리닉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피부의 만성적인 질환으로 기관지천식, 고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두드러기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과 동시에 많이 나타납니다.

아토피는 알레르기성 습진, 소아 습진, 굴절부 습진, 범발 신경 피부염 등으로 불리는 질환으로 유아 습진에서부터 소년기, 사춘기, 성인에 나타나는 전형적 태선화 피부염에까지 이르는 임상 및 조직학적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임상 범주의 질환입니다.

또한 유전적 소인이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환자 자신이나 가족에게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만성적으로 계속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로 10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가려움증이 동반되어 긁게 되면 발진이 생기면서 진물이 나고, 팔, 다리, 목 등 살이 접히는 부분에 이러한 증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아토피 강려움증은 밤중에 더 심하게 나타나기 떄문에 깊은 잠을 자지못해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성장기의 아이들은 성장 호르몬이 잘 분비되지 않아 성장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며 신경질적인 성격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유아기

유아기에는 생후 2개월부터 2년사이에 양볼에 소양성 홍반으로 나타난다. 나타나는 임상양상에 의해 삼출이 심하거나 가피, 농포, 침융성 병변을 보이는 습윤형, 홍피와 각질박탈이 나타나는 지루형, 피부가 지나치게 건조하여 습진화되는 건조형이 있다.

이들 환자는 면역학적 특성과 특이한 혈관 반응 및 병원균의 감염이 잘되는 경향이 있다. 환자는 체질적으로 알레르기를 잘 일으켜서 생후 1년이내에 시작되는 습진은 음식물이, 2년 이후에 처음 발진이 시작되었다면 꽃가루, 양모, 개털, 고양이털, 새털 등 외부요인에 의해 피부병변이 악화되는 경우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봄철에는 바람, 건조한 날씨 등과 아울러 이러한 항원에 의해 피부병변이 악화되는 수가 많다.

소아기

소아기에는 동일한 장소에, 진물이 적고 보다 건조한 병변 겸 구진형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유아기 습진보다 다소 경미한 급성 병변을 보인다. 병변이 나타나는 전형적인 부위는 전주부, 슬와부, 손목, 안검, 안면, 목주위 등이다.

겨울철에 나빠지고 여름철에는 거의 사라진다.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해 범발성 단수포진이다 종두 바이러스 감염이 흔히 발생하며 카포지 수두상 발진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어린이에 흔하며 형제중에 하나 혹은 그이상에서 이러한 감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사춘기 및 성인기

사춘기 및 성인기에는 한국성 홍반, 인설, 구진 또는 수포성 반을 형성하거나 소양성 태선화반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병변은 전주부와 슬와, 목, 이마, 눈주위에 나타난다. 전신적으로 발진이 발생할 때에는 굴절부에 심한 병변이 있다. 이 병변은 대부분 태선화가 되어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인자
▪ 건초열, 천식
▪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
▪ 인스턴트 식품, 대기오염, 새집증후군 등 현대의 화학성 물질
▪ 가족중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는 경우
▪ 스트레스: 스트레스가 있으면 가려움증과 발진이 증가
▪ 면역기능 억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아토피 체크리스트
▪ 이마, 빰, 눈 주위에 각질이 일어나거나 좁쌀 같은 것이 빨갛게 돋아난다.
▪ 목, 특히 턱 아래와 뒷목 등의 피부가 붉어지고 각질이 자주 생긴다.
▪ 겨드랑이, 팔, 무릎 등 접히는 부위의 피부가 거칠고 가렵다.
▪ 자는 동안 가려움증을 느껴 자주 긁고 잠을 설친다.
▪ 특정 음식을 먹은 뒤 몸이 가렵거나 이상 증세를 보인다.
▪ 천식, 비염, 결막염 등 알레르기 질환이 있다.
▪ 가족중에 아토피를 경험했거나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이 있다.
▪ 땀을 흘리면 피부가 가렵거나 따갑다.
▪ 수영을 하고 나면 피부가 가렵거나 따갑다.

아토피는 특정 부위에 반응을 일으키다가 순식간에 온몸으로 번집니다.
위 항목 중 다섯 가지 이상에 해당된다면 아토피일 가능성이 높으니,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문의 :714-539-6562
◆ 1:1무료상담 바로가기 : 스탠톤 부속 한방병원 전문가 페이지 바로가기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