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야기] 사람도 반향정위 능력 있다
되돌아오는 음파로 위치와 지형지물을 파악하는 반향정위(反響定位) 능력은 돌고래나 박쥐 고유의 것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사람에게도 이런 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시각장애인들의 활동을 크게 향상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ABC 뉴스가 보도했다.영국 잉글랜드 남서부 도싯 지역에 살고 있는 선천성 시각 장애아 루카스 머리(7)는 2년 전까지만 해도 부모의 손을 잡지 않고서는 한 발짝도 떼지 않는 겁 많은 소년이었지만 자신의 반향정위 능력을 확인하고 연습한 결과 지금은 또래들과 똑같이 농구와 트램펄린을 즐기고 높은 곳을 오르는 등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다.
루카스는 '시각장애인의 세상 접촉'이라는 자선 단체를 이끄는 시각장애인 심리학자 키시의 도움으로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을 얻었다.
키시는 2년 전 루카스의 집을 방문해 나흘 동안 반향정위 기술을 가르쳤다.
그가 가르친 `플래시 소나' 기술은 입 천장에 혀를 차 소리를 내고 그것이 되돌아오는 방식을 통해 자신의 위치와 주변 사물의 거리와 깊이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키시는 시각장애인이라도 뇌의 시각피질 기능은 살아 있기 때문에 시신경이 보내는 영상이 도달하지 않아도 청각 등 다른 감각 자료를 종합해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각(視覺)피질'이라는 이름 자체가 잘못된 것이며 '이미징 피질'로 불리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호숫가에 사는 루카스의 부모에게 제일 어려웠던 점은 아들을 믿고 풀어 주는 것이었지만 두려움을 극복하고 나자 루카스의 능력은 놀랍도록 빠르게 발전해 찬장의 위치와 그릇의 크기를 구별하고 식품점의 상품들을 탐색하는 일 호숫가에서 놀기 등을 모두 혼자 할 수 있게 됐다.
그가 혀를 차는 빈도는 주변 환경이 어떤 것인지 그 환경이 얼마나 친숙한 것인지에 달렸지만 이제 이런 기술은 그의 두 번째 본능이 됐다.
그의 부모들은 "우리는 루카스가 아무 것도 보지 못하고 장차 도우미와 보조견의 도움을 받으며 살 것으로 예상했었지만 지금 그가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없다"고 말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