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송유관 가동 재개…"완전 정상화 수일"

주유소 사재기 등 벌어져
해커에 500만 달러 지불

전국 최대 송유관을 운영하는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해킹 공격을 받은 지 닷새 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

12일 로이터, AP 통신에 따르면 콜로니얼은 이날 오후 늦게 성명을 통해 파이프라인 재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완전 정상화까지는 수일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 측은 “안전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휘발유와 디젤, 제트 연료유를 수송할 것”이라며 “시장이 정상으로 돌아갈 때까지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서비스하는 몇몇 시장에서는 간헐적이거나 지속적인 장애를 겪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콜로니얼은 조지아, 메릴랜드, 뉴저지, 캐롤라이나 등의 지역에 대한 수송라인 일부를 수동으로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주말까지 전반적인 재가동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200만 배럴의 연료를 공급받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콜로니얼 파이프라인과 계속해서 접촉하고 있으며,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텍사스주 걸프만에서 동부 뉴저지주까지 8850㎞ 규모의 송유관으로 하루 250만 배럴의 휘발유, 디젤유, 난방유, 항공유 등을 실어나른다. 인구가 많은 동부 해안 일대 석유 공급 중 45%를 책임지며, 이 회사 송유관에 의존하는 소비자는 5000만명이 넘는다.

이 회사는 지난 7일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IT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서 모든 송유관 시설 가동을 중단했다.

한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해킹 범죄단체에 이미 사건 발생 초기에 ‘몸값’을 지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 콜로니얼이 지난 7일 해킹 공격을 당한 지 수 시간 만에 동유럽의 해커들에게 거의 500만 달러를 지불했다고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회사 측은 추적이 어려운 암호화폐로 이 금액을 전달했고, 연방 정부도 콜로니얼이 ‘몸값’을 지불한 사실을 알고 있다고 또 다른 관계자가 밝혔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