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담, 자주 걸리면 근육이 손상됐다는 징후

신명균 전문의에 듣는 원인과 예방법
운동 안하는 중년, 기온차 심한 요즘 찾아
겨울철 신문 주울 때 무릎 완전히 굽혀야

'담은 옮겨 다닌다.' '담은 쉬면 절로 낫는다.' 맞는 말일까? 신명균 통증 재활의학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잘못 알고 있는 내용들"이라며 "담이 자주 생기는 사람은 근육상태가 손상되어 약화됐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소 운동없이 살아 온 사람들이 중년 이후 담의 발생이 잦은 것은 당연하지만 젊은층에서도 근육이 외부 자극을 받아들일 워밍업이 안됐을 때 담이 결려 고통을 겪게 된다.

# 담이란

'담'을 영어에서는 '늘어난 근육 혹은 힘줄'(pulled muscle or tendon)로 표현한다. 뼈나 관절이 아닌 근육과 힘줄의 문제다. 몸통 부위의 근육과 힘줄이 늘어났을 때를 담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주로 등과 허리 옆구리와 가슴 주변 어깨쭉지와 이와 연결되는 목주변이 담에 잘 결린다.

신명균 통증 재활의학 전문의는 "평소 근육의 이완상태가 좋아 언제라도 수축운동을 받아들일만큼 근육의 유연성이 클수록 담은 잘 생기지 않는 법"이라며 운동선수들이 담에 결릴 확률은 일반인보다 매우 낮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외부 온도도 중요한 요소다. "요즘처럼 기온이 내려갈 때 담에 결리는 사람이 많은 이유"임을 지적하면서 "외부 온도가 낮아지면 우리 몸의 열도 떨어지는데 문제는 몸에 열이 적어지면 혈액순환이 그만큼 원활치 않아 결과적으로 근육이 플렉서블하지 못한 상태에서 힘을 받게 되기 때문"이라고 의학적 원인을 짚었다.

특히 겨울철에 조심할 것의 하나가 따스한 잠자리에서 일어나자 마자 밖에 나가서 땅에 떨어진 신문을 급히 주어들 때라고 말한다. 이 때는 반드시 무릎을 완전히 굽혀 앉은 자세에서 신문을 들어 올리는 것이 몸통 쪽의 근육수축을 최소화 시키게 된다. 중년들에게 담이 가장 잘 오는 순간이라며 당부한다.

# 통증

왜 아픈가? 우리가 무엇인가를 집어들거나 갑자기 몸통에 힘을 가하면 근육이 움크러들면서 팽창한다. 이 때 근육이 유연하면 이완작용이 부드럽게 되어 별 탈이 없지만 무리하게 팽창하게 되면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이 원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늘어나 버린다.

이 때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늘어난 정도가 심할 경우는 근막이 찢어져 파열되어 아픔은 더 심하다. 그래서 움직이기도 힘들 뿐 아니라 숨쉴 때마다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 옮겨 다닌다?

40대 후반의 직장 여성은 자주 담이 찾아오는 편이다. 첫 날은 허리부위에 담이 결려서 불편하게 지냈는데 그 다음 날에는 점차 윗쪽으로 통증이 번지는가 싶더니 며칠 후에는 목까지 담에 결려 불편하기 그지 없다.

이에 대해 신 박사는 "담이 옮겨 다닌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특히 우리의 몸통 근육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서 설령 늘어난 근육은 일정하지만 통증은 그 주변 둘레까지 느끼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말한다.

또 허리서 시작된 담이 멀리 목까지 옮겼다고 하는 것은 근육은 어느 한 부분이 약화되었을 때 다른 근육이 대신 그 부족함을 채워주도록 구조가 되어 있기 때문이라 설명한다.

"예로 허리가 아프면 자신도 모르게 다른 부위의 근육을 평소보다 많이 힘을 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그 부위의 근육에도 과부하가 생긴 것이지 처음에 생긴 담이 그 곳으로 건너 뛰어갔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처음에 늘어난 근육은 손상된 채로 그대로 있기 때문이다. 저절로 회복되고 또 다른 곳으로 옮겨간 것이 아니란 뜻이다.

# 전문의에게 가야 하는 이유

50대 중반의 남성이 담이 너무 자주 결리고 점점 통증이 심해진다며 찾아왔다. 그러나 진단을 해보니 담이 아닌 간암 때문임을 발견했다. 본인은 계속 담에 결려 옆구리가 아픈 것이라 자가진단해 오다가 점점 통증이 심해져 의사를 보러 왔던 것이다.

"이런 경우를 볼 때 의사로서 안타깝다"며 일단 담이라 생각되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와 통증의 정확한 원인 규명부터 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앞의 환자처럼 간이나 폐 등 내장에 문제가 있을 때도 있고 허리에 담이 결렸다고 할 경우는 근육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그 부위 척추에 디스크 등 뼈 혹은 관절이 원인인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담의 치료에 들어가기 전에 X-레이 혹은 MRI 등을 통해 내장을 비롯해 척추와 뼈의 문제부터 점검하는 것이 순서라고 설명한다.

# 치료

치료 방법은 일차적으로 늘어난 근육과 힘줄 부위를 진정시키기 위해서 냉찜질을 해 준 다음에 2일~3일 후에는 온찜질을 한다.

만일 통증이 심할 경우 소염 진통제인 애드빌이나 모트린 등을 복용한다. 심하게 파열되어 손상이 클 때는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전기 자극 치료 초음파 치료를 해야 된다. 또 늘어난 근육의 이완을 돕기 위해 혈액순환을 활성화시켜 주는 수기요법을 한다. 손으로 해주는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돕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빠른 회복을 돕기 때문이다.

Q&A…"재빠른 진단 통해 폐·간 이상 발견도"
-담도 매우 위험한 것 같다. 그러나 실제로는 담 때문에 의사를 찾게 되지 않는다.


“대부분 참을 수 없게 될 때 온다. 그러나 처음 담이 결렸을 때 치료하면 그만큼 치료가 빠르고 효과적이다. 무엇보다 좋은 것은 정확한 통증 진단을 통해 자신이 미처 몰랐던 다른 부위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폐나 간에 이상이 있을 때 잘못 자가진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담에 걸리지 않기 위한 특별한 음식이 있나.

“그런 음식은 없다.”

-한인들은 특히 골프치다가 담이 잘 온다고 한다. 예방책은?

“앞서도 말했듯이 담이란 평소 근육상태를 유연하게 유지할 때 예방이 가능하다. 충분한 워밍업이 필요하다.

준비운동없이 스윙 동작을 하다가 특히 옆구리에 담이 잘 온다. 이 때 근육을 이완시켜 원상태로 회복하지 않고 계속 치면 나중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아령을 드는 운동을 하거나 요가식의 스트레칭을 평소에 꾸준히 하면 도움이 된다.”

-전문의로서 꼭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는가.

“자가진단하지 말 것. 좀 무리해서 움직였더니 또 담이 들었구나 하면서 혼자서 알아서(?) 진통제로 가라앉히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원인이 다양해서 전문적인 진단이 필요하다. 또 한 가지는 웃몸을 찬 곳에 직접 접촉시키지 말 것. 한 젊은이는 산에서 찬 바위 위에 티셔츠를 벗은 채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담에 결려 큰 고생을 했다.”

글.사진=김인순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