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과학] 접어지고 휘어지는 안테나, 한인 여성 과학자 첫 개발
주파수 달리 할수 있어 군용으로도 사용 가능
노스 캐롤라이나 주립대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소주희씨는 최근 뒤틀고, 휘고, 잡아당겨도 끄덕없이 작동하는 안테나를 개발했다. 이에 따라 안테나를 아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자동차나 휴대전화, 혹은 내비게이터 등에 장착된 기존의 안테나는 모두 ‘뻣뻣한’ 안테나들이다. 이들은 주로 구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안테나는 단순히 전파신호를 송수신 하는데 그치지 않고, 주파수를 달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교량의 안전을 감시하거나 군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면 주파수가 변하게 되는데, 이번에 개발된 안테나를 교량에 심어 놓으면, 다리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정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존의 구리 안테나보다 훨씬 내구성이 좋은데다, 접었다가 원상태로 펼 수도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안테나를 운반해야 하는 등의 군사작전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소씨를 비롯한 연구팀은 상온 상태에서는 액체로 존재하는 갈륨과 인듐의 합금을 이용해 새 안테나를 개발했다. 즉 합금 물질을 머리카락 굵기의 대롱에 흘려 보내, 안테나를 만든 것이다. 대롱은 복원력을 가진 화학물질로 만들어져서 있어서 휘거나 뒤틀어도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새로 개발된 안테나는 갈륨과 인듐 합금의 특성 때문에 기존 구리 안테나보다 훨씬 내구성이 강한 특징도 갖고 있다.
소씨의 지도교수인 화학 및 생분자 공학과의 마이클 딕키 박사는 “새로 개발된 안테나는 기존 구리보다 비싸서 소비자 상품에 사용되기는 힘들지만 기존 안테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성이 있어서 좀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기능성 물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지 최신호에 논문으로 실렸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