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고지에선 아르헨 헉헉, 1753m를 우리 편으로

'고지서 90분은 평지 130분'
적응잘하면겁낼것없어

지난 6월 10일 에콰도르 키토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에콰도르의 2010 남아공 월드컵 남미 예선. 아르헨티나는 리오넬 메시 카를로스 테베스 등 주축 선수를 총출동시켰다. 하지만 결과는 0-2 패배였다. 2800m나 되는 해발 고도가 아르헨티나의 발목을 잡은 '제2의 적'이었다.

평지보다 산소가 적은 고지대에서 아르헨티나는 후반 들어 힘을 쓰지 못했다. 후반 26분 결국 선제골을 허용했다. 골대에서 22m 지점에서 쏜 중거리슛이 빨랫줄처럼 골망으로 빨려들어갔다. 고지대는 공기가 희박해 같은 힘으로 슛을 쏴도 더 빠르고 멀리 나간다. 아르헨티나는 후반 38분 추가 골을 내주며 무너졌다. 이뿐이 아니다. 아르헨티나는 지난 4월 볼리비아와의 원정경기에서 1-6으로 참패했다. 당시 경기장이 있던 라파즈의 해발 고도는 3600m다.

한국은 남아공 월드컵에서 해발 고도 1753m에 위치한 요하네스버그 사커시티 스타디움에서 아르헨티나와 싸운다. 고지대에 적응을 잘 하면 아르헨티나와도 대등한 경기를 할 수 있다.

체육과학연구원의 송홍선 박사는 "고지대에서 90분을 뛰는 것은 평지에서 130분 뛰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대비를 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며 "해발 고도 1330m인 태백 선수촌을 적극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지대 적응 능력은 개인 차가 있어 이를 미리 점검해 출전선수 명단을 짜야 한다.

한국은 일찌감치 준비를 시작했다. 월드컵 기간 중 사용할 숙소를 1250m 고지대인 남아공 루스텐버그로 정했다. 내년 1월 6일엔 이곳으로 전지훈련을 간다. 월드컵 직전에도 알프스 산맥에 인접한 오스트리아 서부에서 고지 적응훈련을 한다.

축구협회는 북한.일본 등과 한 조에 속한 코트디부아르.가나 등 아프리카 강호들과 평가전을 추진할 전망이다.

이해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