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에서 찬물이 나와서 너무 기뻤습니다. 애리조나 피닉스에서 목회하시는 목사님의 말입니다. 피닉스는 여름에 116도(섭씨 46도)까지 올라갈 때가 많다고 합니다. 찬물을 틀어도 뜨거운 물이 나온답니다. 상추를 씻을 수 없답니다. 상추를 씻으려면 얼음이 필요하답니다. 직접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본 적이 14년 전이라고 합니다. 피닉스에서 눈을 보려면 차로 3시간쯤 가야 한답니다. 집 주위를 둘러보면 자갈과 선인장뿐이라고 합니다.
저는 매일 콜로라도 로키 산의 눈을 보면서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도에서 찬물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감사한 적이 없었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작지만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행복을 추구하는 삶의 경향을 ‘소확행’이라고 합니다. 일본어로 ‘小確幸(しょうかっこう)’이라고 씁니다.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소설 ‘A Small, Good Thing’에서 따와 만든 신조어입니다. 그의 에세이 ‘랑게르한스 섬의 오후(ランゲルハンス島の午後)’(1986)에서 이 단어를 썼습니다.
그는 ‘小確幸’을 이렇게 소개했습니다. ‘갓 구운 빵을 손으로 찢어 먹을 때’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돌돌 만 깨끗한 내의가 잔뜩 쌓여 있는 것을 보는 것’ ‘정결한 면 냄새가 솔솔 풍기는 하얀 러닝셔츠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쓰는 것’ ‘추운 계절에 고양이가 내 이불 속을 세 번 들락날락하다가 네 번째 들어와 조용히 잠드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100미터 마이크로 산책’이 인기입니다. 동네 100미터 내외의 작은 공간 구석구석을 1년 365일 아주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입니다.
우리말에서 ‘소확행’에 해당하는 말을 찾는다면 ‘정복(淨福)’을 들 수 있습니다. ‘이양하 수필선’에 나오는 “많지 않은 여년(餘年)을 한 뜰에 나무를 모아 놓고 벗 삼아 지낼 수 있다면 거기서 더 큰 정복이 없을 것 같다”라는 용례에서처럼 정복은 ‘맑고도 조촐한 행복’을 뜻하는 말입니다.
아내는 ‘에스프레소 커피(이탈리아어 caffè espresso)’를 좋아합니다. 에스프레소 커피 주전자(Moka Pot)를 5불 정도에 샀습니다. 아침 식사 후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시는 것이 작은 행복입니다.
요즘 세발자전거를 탑니다. 천천히 달려도 넘어질 염려가 없습니다. 천천히 달리면서 주변을 봅니다. 꽃과 나무를 봅니다. 노래하는 새들을 봅니다. 다람쥐들이 노는 모습도 보입니다. 해 뜨는 모습이 참 아름답습니다. 손자를 품에 안고 세발자전거를 타고 공원에 갑니다. 손자와 함께 놀이터에서 놉니다. 손자가 세발자전거 타는 걸 아주 좋아합니다. 손자가 말을 듣지 않으면 자전거 태워주지 않겠다고 하면 바로 말을 듣습니다.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은 여행과 취미생활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행복감을 줄이는 활동은 스마트폰과 인터넷 사용, 업무적 만남, 혼자 있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국민 여행실태 조사 결과에서 최고의 행복감을 주는 활동은 여행이라고 합니다.
한편 이 단어 자체가 자본주의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비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나아가 학습된 무기력을 보여준다고 비판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소확행에서 풍기는 뉘앙스에서 '큰 행복은 어쩔 수 없이 포기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취업포털 사이트에서 실시한 ‘행복 키워드’ 조사에서 응답자의 10명 중 7명 이상이 ‘소확행에 공감한다’(75.1%)고 답했습니다. 그 이유로 ‘가끔 오는 큰 행복보다 자주 느낄 수 있는 작은 행복이 만족감이 더 크고’,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행복감을 얻어서’라고 응답했습니다. 하지만 ‘소확행에 공감한다!’는 응답자의 82%가 ‘현재 행복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이들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가 ‘취업과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에(58.5%)’와 ‘생활비 마련이 어려워서(32.3%)’라고 답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동으로 돈을 벌고 있습니다. 고액 연봉을 받는 전문가들도 노동이 주 수입원입니다. 노동으로 돈을 번다는 것은 노동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고액 연봉을 받는 노동자라고 할지라도 고용자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눈치를 본다는 것은 행복감을 느끼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참 행복은 내가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이 있을 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나는 천국에 간다는 확신이 있으면 바쁜 중에서도 느긋하게 살 수 있습니다. 소소한 행복은 미래가 없습니다. 천국은 영원한 미래입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소소한 행복뿐만 아니라 영원한 행복도 누리시면 좋겠습니다.